바이든, 북미관계 따라 부침···올해는 외교 강조

455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21일 유엔총회에서 연설을 하고있다.<로이터>

바이든 “진지하고 지속적 외교”···”군사력은 최후수단” 일반론으로 간접 메시지
트럼프 첫해엔 “완전한 파괴” 위협···북미 관여 본격화 후 유화적 기조

바이든 대통령의 뉴욕 유엔총회 연설에서 올해도 북한이 화두로 등장했다.

미국이 핵 위협 내지 핵확산 제지 대상 국가로 여기는 북한은 그간 이란과 함께 미 대통령 연설의 단골 메뉴였다. 그러나 북미 관계의 부침, 비핵화 협상의 진전 여하에 따라 연설 방향과 내용은 상당히 달랐다.

취임 후 첫 유엔총회 연설인 2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의 기조는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려는 데 방점이 찍힌 인상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추진을 위해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를 모색한다”고 말했다.

또 한반도와 역내의 안정을 증진하고 북한 주민의 삶을 개선할 실제적 약속을 거론한 뒤 이를 수반하는 실행 가능한 계획을 언급하면서 “우리는 (이를 향한) 구체적 진전을 추구한다”고 강조했다.

조건 없는 대화에 나서라는 바이든 행정부의 주문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별다른 호응이 없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인 북한의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시험에 관한 언급이 없는 점으로 미뤄볼 때 대화와 외교를 통한 해결 기조를 재확인하며 북한에 유화적 손길을 내민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의 군사력은 최후의 수단이 돼야 한다. 세계의 모든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써 사용돼선 안 된다”고 한 부분도 주목된다.

북한을 직접 겨냥해 언급한 대목은 아니었지만 전 세계 현안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전쟁보다 외교를, 충돌보다 대화를 추진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서, 북한에 대한 간접 메시지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연설은 4년 전인 2017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취임 후 첫 유엔총회 연설과 극명히 대비된다.

‘화염과 분노’로 대표되는 말 폭탄을 주고받으며 긴장이 최고조에 달한 상황을 반영하듯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로켓맨’으로 지칭하고 “완전한 파괴”를 언급하며 압박했다.

그러나 2018년 6월 1차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후인 그해 9월 연설에서는 “전쟁의 망령을 대담하고 새로운 평화의 추구로 대체하기 위해 북한과 대화하고 있다”며 확연히 달라진 태도를 보였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