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롭게 여겨져온‘흰쥐’···근면·예지력을 상징

1301
한국 동해안 일출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간절곶에서 흰 쥐 조형물 너머로 해가 뜨고 있다.[연합]

경자년 쥐띠해의 의미
십이지의 우두머리···부지런히 움직여‘부’와 연결
빠른 번식·강한 적응력···다산과 풍요 나타내기도

2020년 경자년(庚子年)은 ‘힘센 흰 쥐’의 해다. 십간(十干)의 하나인 경(庚)은 금(金)ㆍ수(水)ㆍ목(木)ㆍ화(火)ㆍ토(土) 등 오행(五行) 가운데 가장 강한 금, 즉 쇠(철)에 해당하고 음양으로는 양(陽)이다. 음(陰)의 금인 신(辛)보다 양의 금인 경이 힘이 더 세다고 한다. 금의 색은 흰색이다. 자(子)는 방위(方位)와 시간의 신인 쥐인데 십이지(十二支)의 첫자리인 쥐 중에서도 우두머리가 흰쥐다. 쥐는 평생 앞니가 자란다고 한다. 생존하려면 항상 뭔가를 갉아야 한다. 근면이 숙명인 셈이다. 쥐의 생명력은 특별하다. 도리어 인간이 쥐를 경외의 대상으로마저 삼고 있는 이유일 테다. 1428년 조선 세종이 상서로운 동물로 언급했다는 기록도 있다. 올해가 예사로운 해는 아닐 듯하다.

■태초에 쥐가 있었다
‘창세가(創世歌)’는 함경남도 지역에서 전승되던 서사무가의 일종이다. 1923년 당시 여무(女巫)인 금쌍돌이가 구연한 내용을 손진태가 채록했다. 쥐는 이 노래에서 조물주인 미륵보다 지혜가 더 뛰어난 존재다. 물과 불의 근원을 미륵에게 알려준다. 이는 오래전부터 우리 민족이 쥐를 현자 같은 영물로 믿었다는 사실을 드러내는 증거라는 게 민속학자인 김종대 중앙대 교수의 설명이다.
고대 역사서들을 보면 전통적으로 쥐는 예지력을 지닌 동물로 여겨지기도 했다. ‘삼국사기’ 신라 혜공왕 5년(769년) 11월 기록이다. 치악현(현재 원주)에서 쥐 8,000마리가 평양 방향으로 이동했는데, 눈이 내리지 않았다고 한다. 눈이 내리지 않았다는 사실은 이듬해 농사가 흉년일 가능성의 암시다. 불길한 현상을 점치는 동물로 쥐가 묘사된 것이다.
심지어 인간 언어를 구사한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사금갑(射琴匣)’ 이야기다. 신라 비처왕(소지왕)이 만난 쥐가 사람처럼 “까마귀가 가는 곳으로 따라가소서”라고 말했다. 까마귀를 쫓다가 노인과 조우했는데, 노인이 봉투에 “열면 두 사람이 죽고, 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고 쓰인 편지를 왕에게 바쳤다. ‘한 사람이 바로 왕’이라는 일관(日官)의 조언을 듣고 내용을 확인했더니 사금갑, 즉 ‘가야금 상자를 쏘라’는 지시였다. 상자 안에 간통 중인 승려와 공주가 왕을 해치려고 숨어 있었던 것이다.
전통적으로 쥐는 부(富)와도 연결된다. “재산을 모으는 소질이 있기 때문에 노력하면 상당히 큰 재산을 모으기도 한다”는 쥐띠의 사주는 먹이를 찾기 위해 늘 부지런하게 움직이는 쥐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쥐가 도망가면 집안이 망한다’는 미신은 쥐가 축재의 보증이라는 방증이다. 다만 쥐가 재물을 부르는 방식이 횡재는 아니다. 쥐에게 부는 꾸준한 준비의 결실이다. 미래의 불확실성을 줄인다는 점에서 쥐의 근면성은 예지력과도 통하는 구석이 있다.
각종 설화에서 쥐는 인간을 돕는 조력자의 면모를 보여주기도 한다. 쥐가 나무꾼이 시련을 극복하는 데 힘을 보탠다는 내용이 포함된 ‘나무꾼과 선녀’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쥐의 조력은 시혜에 대한 보은 차원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끝까지 살아남을 쥐
전통 문화 상징 체계로 나타나는 쥐에 대한 애증의 배경에 쥐의 생물학적 특징이 자리한다는 건 물론이다. 쥐는 생존의 아이콘이다. 별다른 무기가 없어 보이지만 재난을 미리 감지하는 능력뿐 아니라 작은 몸집과 빠른 번식, 강한 적응력 등이 쥐를 만만치 않은 존재로 만든다. 약 100억마리에 이르는 규모는 지금껏 알려진 포유류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유독 물질과 방사선, 220볼트에 달하는 전기 충격을 견디고, 섭씨 영하 40도부터 영상 60도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서식 가능하며, 썩거나 짠 물로도 갈증을 해소할 수 있고, 다양한 전염병에 대항할 수 있는 면역체계를 갖추고 있는 데다, 철을 갉아 부서뜨리는가 하면, 쉬지 않고 1㎞를 헤엄치거나 물속에서 사흘씩 버텨내는 포유류는 사실상 쥐가 유일하다고 한다. 과학 칼럼니스트인 김재호씨는 “어쩌면 쥐는 생존에 가장 적합한 포유류의 완성체인지도 모른다”고 했다.
종(種)을 유지하는 쥐의 비결은 다양하고 탁월하다. 일단 다산(多産)이다. 한 번에 평균 최대 9마리까지 새끼를 낳는데 그게 1년에 6~7회나 가능하다. 다른 생태적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1년 뒤 쥐 한 쌍이 2,400마리까지 불어날 수 있다고 한다. 적응력도 상상 이상이다. 서식 환경에 맞춰 기민하게 진화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핵심 추동력은 호기심이다. 실험을 해봤더니 미궁을 탐색하려고 먹기를 포기할 정도였다. 게다가 영민하다. 기억력이 비상하고 동료의 감정을 받아들이는 능력도 있다.
사실 포유류의 처음도 쥐였다. 약 2억2,500만년 전에 살았던 최초의 포유류 아데로바시레우스는 쥐의 형상이었다. 거대한 공룡들로부터 도망쳐 살아남으려면 작고 민첩해야 했을 것이다. <권경성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