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기억력을 찾아서

1566

  한원삼 전 주립병원 정신과 의사    

 

어느 주말 이른 아침, 아내는 웃음을 참을 수 없다는듯이 깔깔거린다. 창밖으로 들려오는 저 날새 소리를 듣어보라 성화다. ‘ 꺼어억’ ‘꺼어억’ 험상궂게 생겨먹은 덩치가 큰 날새 대여섯 마리가 길 건너 전나무 숲을 상하로 나르며 오르락 거린다. 새벽부터 무슨 먹고 살판이라도 생긴듯 퍼드득 짖고 까불며 분주하다.    상기도 호흡기 점막이 부은듯 이놈 저놈 서로 옥신각신 시끄럽다.  영락없이 간밤 내내 목이 쉰 청진동 골목길 술꾼 고함지르는 꼴이다. 아내가 끓여 준 커피잔을 든채 문득 맨사드( mansard )식 지붕이 커다란 막사 앞 연병장, 번뜩이는 총장기를 메고 아침점호를 받던 로스케 병사들의 모습을 기억해낸다.

칠십년 전 평양시 외성의 어느 일각 이겠다. 코흘리개 시절, 나는 로서아 병사들을 쫓아 으쓱 그들의 행군을 뽐내며 딸아 흉내내던 일을 기억한다.  서양 농가 헛간같은 병영막사,이단으로 두번 꺽인 경사가 급한 지붕을 딸아 오르락 거리며 ‘ 꺼어억 ‘ 거리던 가마귀.   그 못생긴 날새가 짖어대던 울음소리( ? )의 기억은 반 세기가 더 지나가버린 북미주 이른 아침 스코기 거주 ( ? ) 가마귀 지저김과 어쩌자고 그리도 흡사한지!  이윽고 나는 아득하게 흘러가버린 그 예사로운 어린소년 시절의 어느 날, 그 선명한 새벽공기,산뜻한 풀 냄새, 어렴풋 달아나버릴듯한 분홍빛으로 물든 이른 새벽구름, 잔바람결에 가늘게 떨듯 흔들리던 하얀 들꽃을 기억한다.

어제 오후 저녁 노을이 져버린 뒤 무엇을 했더라?  밑도끝도없이 가믈거리는 기억력이 불편하도록 조바심을 불러일으키는 요지음.     오래전 피난 길, 시골농가 앞뜰, 어머님이 끓여주시던 무우 된장국 냄새, 윤기가 흐르는 아름다운 복실 털 삽살개의 순하디 순한 눈빛. 이가 부수어지도록 차가운 두레박 우물 물맛을 이렇게 지금도 생생한 그림으로 그려낼 수 있을가?!  도저히 일 천억개의 뇌신경 세포를 경이로워 한다.

나이를 먹어가는 노화과정에서  피할 길 없는 기억력 감퇴는 고약한 현실이다.  점점 가믈거리는 기억력. 별 도리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입장이 되버린 것이다.        반가운듯 나의 이름을 부르며 한 손으로는 악수를 청하며 어께를 감싸안으려는 ‘ 이분은 나도 잘 아는 분 인데…..’ ‘도저히 성함을 기억해낼 수 없네…..야단났다!’   “여어, 오래간만이요, 어떻게 지내셨소 ?” 반갑게 응답을 하지만 내심 당혹감을 감추기 어려운 자신을 발견한다.   상대방의 관등성명을 기억해 낼 재간이 없는 것이다.    천만다행, 옆에 선 아내는,” 장 선생님 오랜만이예요, 미세스 장을 지난 달 고전무용 공연 때 뵈었어요, 여전히 건강하시죠 ?!”  날 구원하는 고마운 아내.  미스터 장이라 이제 기억이 나는군, 장 아무개 !.

로맨틱 혹은 애틋한 추억으로 남게되는 기억도 있겠으나, 따지고 보면,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부터 우리들의 사고 방향과 행동은 기억에 의존하게 된다.    안경을 어디에다 놨더라,칫솔 치약이 들어있는 세면도구 함, 갈아입을 속내의 설합장 찾기. 냉장고를 찾아 열고 간단한 조반꺼리 준비하기, 자동차 열쇄 꾸러미, 일터로 가는 옳바른 주행선은 ? 사무실이 있는 팔층 엘리베이터 버튼 누르기.  하루를 시작하는 일련의 행동과 상황판단은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서는 도무지 그 임무수행은 불가능이다.

기억은 우리들의 과거이자 미래이며 현재를 연결한다.    기억이 없다면 개인에게 어제나 미래라는 것도 없다. 기억이 없는 나는 지금이라는 동물적 테두리를 벗어날 수 없다.    생각과 행동은 경험과 기억을 통한 개인의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내장된 정보에 딸아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한편 집단무의식은 전혀 의식되지 않은 채 호모 싸피엔스( Homo sapiens )의 인격 전체를 지배하고 근본적인 인성과 세계관을 형성하며 종족적인 틀 속에서 거의 유전자의 형태로 남게된다.

인류의 출현 초기부터 기억의 유전자에 각인된 듯한 감정이입( empathy ), 애타주의( altruism )는 전 인류의 공통된 성향이며 인간이 인간다움을 표방하는 근본이되는 집단무의식인 것이다.      현재 우리들의 생각과 행동은 기억과 경험을 통하여 형성되는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의 영원한 충돌의 결과인 것이다.    때때로 집단무의식과 개인무의식의 끊임없는 갈등은 인류의 새로운 변모를 창출하는 근원이 될 수도 있다.(847-651-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