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엔 힘들었 ‘쥐’ 새해엔 웃어보 ‘소’

1612

소같이 일하고 쥐같이 먹으랬다는 우리의 옛 속담은 소의 우직함을 뜻한다. 절묘하게도 페스트(흑사병)의 숙주였던 쥐의 해가 가고 백신의 어원이 된 소의 해 신축년(辛丑年)이 밝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시대를 관통하는 지금, 치유와 평화·풍요를 상징하는 소의 해가 각별한 의미로 여겨진다.

십이지신의 두 번째 동물인 소는 오전 1~3시의 축시(丑時), 북북동 방향을 가리킨다. 소는 고집이 세지만 듬직한 동물이라 근면, 여유, 자기희생을 상징한다. 소의 걸음으로 천리를 간다고 한 우보천리(牛步千里)는 소 특유의 성실함과 우직함을 뜻한다. 풍수지리에서도 소가 편히 누운 모양의 와우형(臥牛形)과 소의 배 속 모양의 우복형(牛腹形)을 복이 깃든 명당이라 여겼다. 살아서는 농업의 노동력과 일상의 운송 수단이었으며 고기와 우유는 식재료로, 뿔과 가죽은 공예재료로 쓰였으니 죽어서도버릴 것이 없었다. 식구라는 의미로 생구라 불렀으니 소는 가족이나 다름없었다.

무엇보다 소는 오곡 농업의 신이던 신농(神農)이다. 고려 왕은 소 80마리를 2마리씩 쟁기에 걸어 직접 밭갈이 의식을 했다는 내용이 고려사에 전한다. 조선의 임금은 동대문구 제기동에 지금도 존재하는 선농단(사적 제436호)에서 신농에게 제사를 지냈고 역시나 직접 쟁기를 잡아 농사의 중함을 백성들에게 알리는 풍년 기원 의식을 진행했다. 이때 선농단에서 끓여먹은 국이 선농탕, 오늘날까지 즐겨 먹는 설렁탕이다. 옛말에 정월 초하루 새벽에 소가 울면 그해는 풍년이라고 했다. 정월대보름에 찰밥, 오곡밥, 나물을 키에 얹어 소에게 내밀었을 때 소가 밥부터 먹으면 풍년, 나물 먼저 먹으면 흉년이라는 풍년점도 성행했다.

소가 부(富)를 상징하는 것은 동서가 마찬가지라 월가의 상징으로도 소 조형물이 놓여 있다. 호환 마마 천연두라고도 불린 두창은 기원전부터 인류를 괴롭혀온 가장 오래된 질병 중 하나다. 1950년만 해도 매년5,000만명이 두창으로 죽어나갔다. 1796년 영국 의사 에드워드 제너는 우두에 걸린 소젖을 짠 소녀들이 두창에 걸리지않는다는 경험적 가설에 착안해 감염된 소의 농을 따서 사람에게 접종했다. 살짝 우두를 앓게하니 두창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 오늘날 백신의 기원이 됐다. 제너는 이 치료법을 라틴어로 소를 뜻하는 바차(vacca)라 불렀고 훗날 파스퇴르가 백신(vaccine)으로 명명했다. 이로써 소는 치유의 의미를 얻게 됐다. 사람이 걸리면 두창 바이러스지만 소가 감염되면 우역이었다. 우역이 정확히 언제 발병이 시작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17세기 수의사가 없던 시절 교황의 전담의사였던 조반니란 치시가 우역을 진단했는데 전염병에 걸린 교황령의 소들을 전부 죽이고, 의심되는 소들이 영내에 들어오지 못하게 차단하고, 소독을 철저히 하자고 제안한 것이 지금도 조류 인플루엔자나 구제역 발생시 사용되는 살처분 방식이다. 소와 공존하며 발전한 인류의 역사인 셈이다.<조상인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