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풀이] 三人行 必有我師焉(삼인행 필유아사언)

2993

방두표/시카고문인회

세 사람이 같이 길을 가면그 중에는 반드시 나의 스승 될 만한 사람이 있다는 뜻으로 공자(孔子)는 논어(論語7편술이(述而) 21번에서 말하기를 三人行 必有我師焉擇其善者而從之其不善者而改之.’(삼인 에 필유아사언 이니택기선자이종지 요기불선자이개지 니라.) 공자는 세 사람이 같이 길을 가면그 중에는 반드시 나의 스승 될 만한 사람이 있다그 중에서 좋은 점을 골라서 내가 따르고좋지 못한 점은 거울삼아 고치도록 한다고 했는데이것은 우리 인간사회에는 언제나 자기중심으로 위와 아래가 있고앞과 뒤가 있습니다여기서 공자는 덕(德行)을 쌓는 사람에 대해 말했는데자신보다 위에 있거나또는 앞에서 생각한 선생에게는 우선 배위라나 보다 뒤에 쳐져 있거나또는 뒤늦게 깨친 사람에게는 가르쳐라또 배우는데 싫증내지 않으며남을 가르치는데 게으르지 않는다고 했습니다또 술이(述而) 2번에 默而識之學而不厭誨人不倦何有於我哉?(묵이지지 하며학이불염 하며회인불권 이 하유어아재 오?) 즉 묵묵히 새겨두고배우기에 물리지(싫증않고남을 깨우치기에 지치지 않는다앞에 글 자중 ’()은 여기서는 기억할 지의 뜻이고 不厭’(불염)은 물리지 않는다. ‘誨人’(회인)은 남을 깨우쳐 준 다의 글자입니다. ‘默而識之’(묵이지지)는 묵묵히 속 깊이 새겨둔다. ‘’()는 일반적으로 배운 것의 의미입니다공자는 스승에게 배우고먼저 깨우친 것을 한편으론 남을 가르쳐준다이것은 학문하고 훗날을 기약하는 사람들의 본질적(本質的사명인 것입니다책이나스승에게서 배우고 다시 내가 후대에게 가르쳐주어야 인류문화는 계승 발전되는 것입니다이어서 공자는 학문하는 것이 곧 선(善行)이요이 곧 학문이니지식과 실천을 자기완성의 바탕으로 삼고 이것을 지키는 일은 쉬운 일이기도 하지만 성인지도(聖人之道)를 지향하는 자에게는 당연히 감수해야할 시련(試鍊)이라는 것입니다성인지도란 주자(朱子)는 말하기를 (1)()은 반드시 닦은 후에 이루어지며, (2)배움은 반드시 익힌 후에 밝아지며, (3)()은 보면 옮길 수 있고, (4)허물을 고치는데 인색(吝嗇)하지 말라며 이 4가지는 날마다 새로워지는 요체(要諦)라고 했습니다공자는 논어(論語학이편(學而篇) 8번에서 無友不如己者.’(무우불여기자 라.) 즉 나만 못한 사람을 벗하지 말라.’ 자기보다 학덕(學德)이 높은 자를 벗하고함께 어울려 정진해야지 자기만도 못한 인간과 어울려 함께 후퇴해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유대교(猶太敎)의 경전(經典)인 <탈무드>에 보면, ‘세상에서 가장 현명(賢明)한 사람은 모든 사람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사람이고남을 칭찬하는 사람이고감정(感情)을 조절할 수 있는 사람이다.’ 라고 했습니다깨닫는 것과 배운다는 것은 젊었을 때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노년(老年)에도 얻게 되는 결과물임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삶을 영위하는 주위에서 내가 배울 점이 있다면 언제나 겸손(謙遜)한 태도로 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우리 속담에 세살 먹은 어린아이에게도 배울 점이 있다.’ 고 했습니다도전(挑戰)하는 사람에게는 나이가 문제되지 않습니다내가 무심코 지나쳤던 세 사람 중에는 나의 스승으로 삼을만한 사람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