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장벽 허문 건 완성도···장인정신으로 국경 넘어”

698
골든글로브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한‘기생충’의 봉준호(가운데) 감독이 배우 이정은(왼쪽), 송강호과 함께 트로피를 들고 웃음 짓고 있다.[AP]

인터뷰 한국영화 첫 수상 ‘기생충’ 봉준호 감독
자본주의에서 논쟁적 주제일 거라 생각
스코세이지 감독 등 거장과 경쟁 영예
오스카 좋은 결과땐 한국영화에 큰 의미

한국 영화 최초로 골든글로브 외국어 영화상을 움켜쥔 영화 ‘기생충’의 봉준호 감독은 “자막의 장벽만
넘으면 영화의 바다가 펼쳐진다”라고 벅찬 소감을 전했다.
봉 감독은 지난 5일 베벌리 힐튼에서 열린 제77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 배우 송강호, 이정은, 조여정, 제작자 곽신애 대표와 한진원 작가와 함께 입장했다. 봉 감독에게 쏟아진 레드카펫 방송·언론매체의 관심은 그 어느 할리웃 배우 못지 않았고, 이날 프레스룸을 가득 메운 기자들 모두 ‘기생충’의 수상을 당연시 하는 분위기였다. 봉 감독은 “(‘기생충’은) 자본주의에 관한 영화인데, 미국이야말로 자본주의의 심장 같은 나라이니깐 논쟁적이고 뜨거운 반응이 있을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이런 정치적 메시지나 사회적 주제도 있지만, 그것을 아주 매력적이고 관객들이 친근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 전해주는, 우리 뛰어난 배우들의 매력이 어필했기 때문에 미국 관객들의 좋은 반응이 있었던 게 아닌가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시상식 직후 프레스룸에서 이뤄진 공식 기자회견에서 봉 감독은 “같이 일한 멋진 앙상블을 보여준 우리
배우들과 같이 일한 스탭, 바른손, CJ, 네온(NEON·미국 배급사) 등에게도 감사한다”고 소감을 덧붙였다. 이날 시상식이 끝나고 인근 포시즌 호텔에서는 한국 매체 간담회가 이어졌다. 배우 송강호는 “메인은 오스카다. 골든글로브는 오스카와 연결되는 지점이다” 라면서 봉준호 감독의 오스카 수상에 대한 기대를 보였다. 다음은 봉준호 감독과의 일문일답.<하은선 기자-베벌리힐스>

– 수상 소감을 말해달라.
▲일단 너무 기쁘다. 최초라는 것도 기쁘지만 영화가 북미에서 개봉 중인데 좋은 반응과 수상 소식이 이어지는 거니까 여러 가지 의미로 기분이 좋다.
– 칸(영화제)에서 수상(황금종려상)했을 때와 (골든글로브를) 비교한다면.
▲경합이 더 무시무시한 느낌이다. 마틴 스코세이지, (쿠엔틴) 타란티노 이런 분들이 있는 상태에서, 심지어 ‘아이리시맨’은 스코세이지 감독의 걸작이고 나도 응원하는 영화인데 상을 하나도 못 받고 돌아가는 걸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 자막과 관련한 수상 소감이 벌써 화제가 되고 있는데 부연설명을…
▲상 자체가 외국어영화상이다 보니까, 특히 북미 관객분들이 여전히 자막 있는 영화 보는 걸 꺼린다고들 하더라. 그런 장벽을, 별것 아닌 장벽이니까 그런 장벽만 넘으면 영화의 바다가 펼쳐진다. 외국어영화상 후보에 오른 작품들이 다 그런 바다에 있는 영화들이고 상의 성격이 그렇다 보니 그런 멘트를 하게 됐다.
– 할리웃 현지 반응을 어떻게 느끼고 있나.
▲수상 직후에 이곳(회견장)에 와서, 느낄 새가 없었다. 모처럼 통역 없는 인터뷰를 하니 속이 뻥 뚫리는 느낌이다.(웃음)
– 할리웃 반응이 대단하다. 극찬하던데.
▲(송)강호 선배님이 최근 브래드 피트도 만나셨고 해서 대답하는 게 좋을 듯한데요. (웃음) 브래드 (피트) 형님이 뭐라고 하시던가요.
– 오스카 캠페인을 소개해달라.
▲오스카 시스템이 칸처럼 9명의 심사위원이 일주일간 20편의 경쟁 부문 영화를 보고 심사하는 그런 게 아니라 한 해 동안 나온 모든 영화를 대상으로 투표권자만 8천명에 육박한다. 마치 선거운동과 같다. 미국 배급사나 스튜디오가 엄청난 예산을 투입해 치열한 경쟁과 캠페인을 한다. 우리도 엉겁결에 강제등판처럼 캠페인의 파도에 휩쓸려 들어간 느낌이랄까. ‘아이리시맨’, ‘결혼이야기’ 감독·배우분들도 (텔루라이드) 영화제에 참가한다. 칸에서 황금종려상, 한국에서 천만 관객의 선물을 받은 작품이어서 그 이후에 벌어지는 모든 일은 즐거운 소동들이다. 이렇게 느끼고 있다. 소동이지만 다들 열심히 한다. CJ나 바른손이나, 북미 배급사 네온이나 다들. 이걸 목표로 달려온 건 아니지만 이왕 상황이 이렇게 됐으니 오스카에서도 어떤 좋은 결과가 온다면 한국 영화 산업 측면에 나름의 또 의미가 있겠죠.
– 뉴욕타임스에서 봉준호 감독을 가장 만나고 싶어한다는 기사를 썼던데.
▲기생충 파티를 1월3일에 했는데 ‘셰이프 오브 워터’로 유명한 길예르모 델 토로 감독이 호스트를 했고 많은 영화인이 왔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나 오늘 상을 받은 로라 던, 그리고 에드거 라잇을 비롯한 많은 감독이 와서 성황리에 파티가 됐는데 뉴욕타임스에서 기사까지 쓸 줄이야 전혀 예상 못 했다.
– 앞으로도 한국 영화가 계속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다고 보는가.
▲(이정은) 그런 노력이 봉 감독 작품 이후로 더 많아지면 좋겠다고 보고, 그걸 위해 많은 인적 자원, 협력, 투자가 필요하다. 국가적 사회적 지원이 많이 필요할 것 같다.
▲(송강호) 수많은 명감독이 계셔서 앞으로 더 좋고 다양한 작품이 전 세계 영화인들에게 감동을 줄 거다. 큰 성과, 영광을 누리지만 한국 영화 관객들의 열광적인 성원과 날카로운 예의주시, 사랑이 없었다면 이런 것들은 불가능했을 거다.
– 언어장벽을 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
▲결국 완성도이다. 언어장벽을 허무는 것도 완성도에 달렸다. 영화는 시각적 언어이기 때문에 장인정신을 가진 스태프 제작진들의 완성도가 국경이나 언어장벽을 넘는 힘이 된다.
– 향후 계획을 말해달라.
▲본업인 창작으로 돌아가고 싶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