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조국독립 위해 한인 2세 259명도 싸웠다

1622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한인 2세 헨리 윤(앞줄 오른쪽부터)과 김인이 1942년 4월 한인사회가 결성한 미군 예비군 성격의 한인국방경위대 맹호군 사열에 참가한 모습.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기획 / 오늘 광복 75주년

2차 대전 미군으로 참전
최근 연구통해 숫자 늘어
당시 한인 시민권자 절반

오는 15일 광복 75돌을 앞두고 그동안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미주 한인 2세들이 모국의 독립을 위해 전장에 뛰어들어 싸웠음을 보여주는 뜻깊은 조사 결과가 나와 광복 75주년의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에 입대해 일본과 직접 싸우며 부모의 조국 독립을 위해 나섰던 미주지역 한인 2세가 총 260명에 달한다는 구체적인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이다.

장경호 서울역사편찬원 전임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미군에 종군한 북미 한인 2세 연구‘ 논문에 따르면 2차 세계대전에서 미군으로 참전해 일본 등과 싸운 미주 한인 2세는 최소 259명으로 집계됐다.

기존에 추산됐던 한인 2세 참전용사 수는 약 195명이었으나, 이 논문은 당시 미주한인언론사인 ‘신한민보’의 청년 용사록과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에서 제공하는 한인 참전용사 명단을 일일이 대조·분석해 최소 259명의 한인 2세들이 조국 독립을 위해 참전했음을 새롭게 밝혀냈다.

이중 절반 가량인 116명은 LA 출신이고, 이어 샌프란시스코 24명 등 캘리포니아 출신이 대다수를 이뤘다.  군종별로는 육군이 174명으로 가장 많고, 해군 23명, 육군 항공대 15명, 해병 5명 등이었다. 장교로 복무했던 이들은 전쟁영웅 고 김영옥 대령 등 21명이었다.

이같은 숫자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시민권이 있는 한인 2세 가운데 참전이 가능한 연령대는 거의 절반 이상이 참전했음을 보여준다. 실제 1940년 센서스에 따르면 당시 미국 내 한인인구는 1,711명으로 이중 962명이 시민권자다.

당시 한인 이민 1세는 미국 국적 취득이 금지됐기 때문에 한인 시민권자 대다수는 2세로 볼 수 있으며, 입대가 가능한 18세 이상 숫자를 감안하면 당시 한인 2세 절반 이상이 참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한민보 보도에 따르면 2세들의 참전은 미국과 일본 간의 태평양전쟁 발발 직후인 1941년 12월 안창호 선생의 자녀들인 안필립·안필선 등 8명이 입대하면서 시작됐고, 이듬해인 1942년 1월부터 본격화됐다.

당시 한인 2세들은 그들이 태어난 미국은 물론 모국인 한국의 독립을 위해 일본과 싸웠던 것으로 분석된다. 신한민보 1942년 4월2일자 보도에 따르면 홍성락은 “일제가 조선인 속박을 하는 것을 보고 돌아와서 늘 원수 갚기를 바라다가 바로 자원 종군했다“고 말했다.

더욱이 대다수 참전 2세들의 부모들은 미주지역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이들이었고, 같은 부모 밑에서 자란 형제들의 동반 참전도 상당수에 달했다.

논문에 따르면 도산 안창호 선생을 비롯해 미군 입대를 독려했던 신달윤 새크라멘토지방회 부회장 등 독립운동을 이끌고 지원했던 한인 1세 수십명의 자녀들이 참전했다. 미주한인독립운동사에 기여한 인물들의 자녀들 상당수가 부모의 뜻을 이은 것이다.

한인 2세들의 전과도 뛰어났다. 훈장을 받은 이들도 적지 않았으며 특히 전쟁 막바지인 1945년 4월1일 시작된 오키나와 전투에서는 한인 참전용사 67명이 참여해 서로를 격려하며 ‘부모의 교훈에 의지해 모국의 원수와 싸우자”는 목표로 싸웠다고 신한민보는 전했다. 당시 2차 대전에 참전했다가 희생된 한인 전사·실종자는 최소 8명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의 윤효신 이사장은 “대한인국민회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 육군으로 참전한 한인들이 많으며,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김영옥 대령”이라며 “당시 미주 한인들은 미군으로 참전해 미국 뿐만 아니라 한국을 위해 싸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한인 2세 참전용사들의 활약상은 독립을 염원하던 한인사회를 매우 고무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한인 참전용사들의 이름을 새긴 기념비를 건축해 영원히 공로를 기억하자는 취지로 1943년 3월 ‘한족출정군인 친족회’라는 조직이 출범했으나 이후 활동 내역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한인 2세 참전용사들이 그토록 염원했던 모국의 독립이 이뤄진지 75년이 지났지만, 오늘날 그들의 존재와 헌신은 제대로 기억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하은선·서한서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