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오피니언 독자기고 藏頭隱尾 와 藏頭露尾(장두은미와 장두노미)

[고사성어 풀이] 藏頭隱尾 와 藏頭露尾(장두은미와 장두노미)

1560

방두표/시카고문인회

머리를 감추고꼬리를 숨긴다는 의미와 머리는 감추었는데꼬리는 드러나 있다라는 뜻으로 전자(前者)일의 전말(顚末)을 분명하게 설명하지 않고 숨긴다는 뜻이고후자(後者)는 일의 진실(眞實)을 숨기려하지만거짓의 실마리가 이미 드러나 보인다는 의미로 무슨 일이든지 흔적(痕迹)없이 감추기는 어렵다는 말입니다채근담(菜根譚전집(前集)에서 말하기를비범(非凡)한 재능을 안으로 감추고 마치 졸렬(拙劣)한 것같이 행동하는 것을 장교어졸’(藏巧於拙)이라고 했는데원문을 소개해보면, ‘藏巧於拙用晦而明寓淸於濁以屈爲伸眞涉世之一壺藏身之三窟也.’(장교어졸용회이명우청어탁이굴위신진섭세지일호장신지삼굴야 니라.) 즉 교묘(巧妙)한 재주를 졸렬한 체 숨기고어두운 체 하면서도 실제는 밝게 하며깨끗하면서도 더러움 속에 붙어있고 몸을 굽힘으로써 펴는 방도로 삼는다면참으로 세상을 건너는 배가되고 몸을 감출 안전한 곳이 될 것이다라는 뜻입니다원문 첫머리에 藏巧於拙’(장교어졸)교묘한 재주를 안으로 감추고 졸렬한체함.’인데 이 말을 다른 말로 藏頭隱尾’(장두은미)라고 하는 것인데즉 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라는 뜻입니다또 三窟’(삼굴)은 한()나라 유향(劉向)(B.C 77-6)이 쓴 전국책(戰國策)에서 <풍난>(馮煖)이 말하기를교활한 토끼에게는 세 개의 굴()이 있어야만겨우 그 죽음을 모면할 수 있는데 지금 한 개의 굴만으로는 아직 베개를 높이하고 잘 수가 없다그러니 두 개의 굴을 더 파도록 하라고 충고하고 있다이 책은 중국의 전국(戰國) 12국에서 유세객(遊說客)이 세운 책략들을 모은 책으로()나라 원 왕(元王)에서부터 진()의 진시황(秦始皇)까지의 약 240여 년 동안의 왕들의 책략을 기록한 책입니다이 말이 후세에 와서 藏頭露尾’(장두노미)라는 말이 생겨났는데즉 머리는 감추었는데 꼬리는 드러나 있다.’ 는 뜻으로진실(眞實)을 숨기려 하지만 거짓의 실마리가 이미 드러나 보인다는 의입니다무슨 일이든지 흔적(痕迹)없이 감추기는 어렵다는 말입니다잘못을 저질러 놓고몸체는 감춘다고 감추었는데 그만 꼬리는 드러난 채 발각된다면 심히 어리석은 꼴이 되고 말지요우리 속담에 눈 가리고 아웅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얕은 수로 남을 속이려고 하는 어리석은 짓을 말하는 것으로진실을 감추고 어설픈 짓거리로 사건을 은폐(隱蔽)하려다 만천하에 드러나 웃음거리가 되는 것을 경계하는 교훈의 말입니다신통력(神通力)을 가진 원숭이 손오공(孫悟空)이 근두운(筋斗雲)을 타고 도주하려 종일 날아도 부처님 손바닥 안이었다.’ 라든가자신의 불리한 상황을 임기응변(臨機應變)으로 감추려다 드러나는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 등의 우리말도 있는데모두가 남들이 알까 감추면서 들통이 날까 전전긍긍(戰戰兢兢)하는 모습도 함께 연상되는 말입니다덩치가 큰 타조(駝鳥)는 위험에 처하게 되면눈을 감고 머리를 수풀이나 모래 속에 처박고는 꼬리는 드러낸다고 하는데이를 장두노미’(藏頭露尾)라고 합니다타조의 행동은 어리석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땅으로 전해오는 소리를 듣고 주변상황을 살피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합니다그러나 인간의 행동은 자신의 비리와 부정을 감추려고 했으나결국은 드러나게 되고 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