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략리더십 연구원장 노병천 박사
간접접근의 승리, 인천상륙작전
우직지계(迂直之計) ― 『손자(孫子) 군쟁 제7편』
민족의 치욕, 용인전투
국가안위지주야(國家安危之主也) ― 『손자(孫子) 작전 제2편』
2005년 10월 미국 상원 의원이던 힐러리 클린턴은 한국인에게는 ‘역사 망각증(historical Amnesia)’이 있다고 지적했다. 주한미군사령관으로 내정된 버웰 벨 장군에 대한 인준청문회에서였다. 한국인들은 과거를 너무 빨리 잊는다는 것이다. 뜨끔한 지적이 아닐 수 없다. 이스라엘은 73년 마사다 요새에서 로마군에게 전멸당한 치욕의 역사를 잊지 않으려고 2000여 년이 흐른 지금에도 어린아이들까지 요새에 오르게 한 뒤에 “용서하라. 그러나 잊지는 마라(Forgive but not forget)”를 복창시키고 있다. ‘야드 바셈’ 홀로코스트 기념관의 마지막 코너에는 동판에 이런 글이 새겨져 있다. “망각은 망국에 이르고 기억은 구원의 비결이다.”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기병 300기에 조선군 4만 명이 어이없이 패배한 쌍령전투는 생각할수록 안타깝고 분하다. 현명한 사람은 과거를 망각하지 않고 과거로부터 배운다. 그런데 당시 인조를 비롯한 지도층은 전혀 그렇지 못했다. 쌍령전투 45년 전에 이와 판박이 같은 전투가 있었다. 바로 임진왜란의 용인전투다. 이때의 교훈을 잊지 않았다면 비극은 되풀이되지 않았을 것이다. 용인전투를 보면 자질이 없는 리더가 얼마나 위험한가를 잘 알게 된다.
용인전투는 임진왜란이 발발된 지 두 달이 채 안 된 1592년 음력 6월 5일 경기도 용인 일대에서 전라도순찰사 이광, 충청도순찰사 윤선각 등이 이끄는 5만 명의 조선군이 겨우 1600명의 일본군에게 참패한 전투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터졌다. 일본군은 파죽지세로 북상해 닷새 뒤인 5월 3일 한양을 점령했다. 이때 선조는 백성을 버리고 의주 방향으로 몸을 피하고 있었다. 한양 탈환을 위한 반격작전은 전라도순찰사 이광을 중심으로 시작됐다. 군세는 전라도군 4만 명, 충청도군 8000명, 경상도군 1000명 등 약 5만 명이었다. 개전 이래 가장 많은 병력이 한꺼번에 모인 것이다. ‘일컬어 10만(號曰十萬)’이라 하여 얼핏 보기에는 위세가 당당했다. 군기와 무기와 군량미를 실은 수레의 행렬은 40∼50리에 달할 정도였다. 이광을 맹주로 삼은 삼도 민병군은 남도근왕군(南道勤王軍)으로 불렸다. 이때 권율은 광주목사로서 전라도방어사 곽영의 중위장으로 참전했다. 근왕군은 곧 북상하여 6월 3일에는 수원 독성산성을 무혈 점령했다. 엄청난 규모의 조선군을 보고 겁먹은 일본군이 용인으로 도망간 것이다.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이끄는 1600명 가운데 주력인 1000명은 한양에 주둔하고 있었고, 600명은 용인 부근의 북두문산과 문소산 등에 진을 쳤다. 이때 권율은 “적진은 험한 곳에 위치하여 공격하기 어렵다. 한양이 멀지 않고 큰 적이 눈앞에 있다. 국가의 존망이 이 한 번의 거사에 달려 있으니 자중하여 만전을 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수의 적들과 칼날을 다툴 것이 아니라 오직 ‘조강’(임진강과 한강의 합류지점)을 건너 임진강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큰 그림을 제대로 본 전략적 판단이었다. 그러나 권율의 깊은 전략을 이해하지 못했던 지휘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리고 이광은 곽영에게 조방장 백광언과 이시지를 붙여 각각 1000명으로 선봉부대를 편성하여 일본군을 공격하게 했다. 이때가 음력 6월 5일이다. 조선군의 집요한 공격에도 일본군은 진지에서 나오려 하지 않았다. 이때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서울에서 주력 1000명을 거느리고 용인에 도착했다. 그리고 기운이 풀려 나무그늘과 풀숲에서 쉬고 있는 조선군을 발견하고 동쪽 측면에서 기습 공격을 가했다. 백광언과 이시지가 전사하고 조선군은 놀라서 도망쳤다. 다음날인 6월 6일에는 더 기막힌 일이 벌어졌다. 선봉부대가 무너지자 이광의 주력군은 수원 광교산에 진을 쳤다. 이들이 아침밥을 지어먹기 위해 불을 피워 연기가 올라갈 때 갑자기 일본군의 기병대가 급습했다. 일본군의 장수들은 얼굴에 쇠로 된 탈을 쓴 채 백마를 타고 마구 칼을 휘둘렀는데, 앞에 있던 충청병마사 신익이 너무 놀라서 도망치자 나머지 군사들도 앞을 다퉈 도망을 했다. 이광과 곽영, 경상도순찰사 김수도 지휘권을 팽개치고 냅다 도망쳤다. 지휘관이 다 도망간 것이다. 몇 만 명의 군사들이 깔려 죽고, 낭떠러지에서 떨어져 죽는 참담한 광경을 선조수정실록에선 “그 형세가 마치 산이 무너지고 하수가 터지는 듯하였다”고 기록했다. 결국 조선군 5만 명(일본 측 기록은 10만 명)은 겨우 1600명의 일본군에게 대패하고 말았다. 질서를 유지한 권율만이 부대를 보존하여 약 한 달 후 이치전투에서 일본군을 대파하고 훗날 행주대첩을 일궈냈다. 이광은 파직되어 유배되었고 이 전투에서 승리한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일약 명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는 곧잘 “조선의 장수는 어리석고 무능하다”고 멸시했다. 조선의 민병들은 숫자만 많았지 호미나 낫을 들었던 농민이나 노비였다. 공자는 논어 자로편에서 “훈련되지 않은 백성을 곧바로 실전에 투입시키는 것이야말로 백성을 버리는 것(以不敎民戰是謂棄之)”이라고 했다.
손자병법 작전(作戰) 제2편에는 훌륭한 리더를 두고 ‘백성의 생명을 좌우하는 자요 나라의 안위를 결정짓는 주인공(民之司命 國家安危之主也)’이라고 했다. 당시의 군사제도인 제승방략체제(制勝方略體制)는 많은 약점을 가졌다. 지방단위별로 군사를 모아놓은 뒤 중앙에서 내려오는 장수가 지휘하다 보니 지리에도 익숙하지 못했고 무엇보다 부하들과 친밀감이 전혀 없었다. 급한 상황을 만나면 각자 살 길을 찾아 뿔뿔이 도망가는 것이 어쩌면 당연했다. 그러나 이런 최악의 상황에서도 적어도 리더는 그들과 함께 도망가서는 안 된다. 리더가 훈련받지 못한 백성과 똑같이 행동한다면 이미 리더가 아니다. 같은 상황을 맞으면서 용인전투에는 이광·곽영·김수·신익과 같은 ‘인간’이 있는가 하면 권율 같은 ‘인물’도 있었다.
國家安危之主也
국가안위지주야
국가의 안위를 좌우하는 주인공이다
역사의 중심에는 언제나 ‘인물’이 있다. 과거나 오늘이나 그리고 미래에서나 사람이 해답이다. 그런데 문제는 제대로 된 사람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미국의 1996년 국방연례보고서에 보면 아주 흥미 있는 내용이 게재되어 있다. “신형 항공모함을 건조하는 데는 9년이 걸렸다. 신형 전투기를 개발하는 데는 10년이 걸렸다. 중대 선임하사관을 양성하는 데는 17년, 대대장을 양성하는 데는 18년, 대대 주임상사를 양성하는 데는 22년이 걸렸다. 기갑사단장을 양성하는 데는 28년이 걸렸다.”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제대로 된 인물을 만드는 데는 적어도 이만큼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는 각 분야의 바닥부터 단계를 밟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기업에서 사내교육을 강화하는 것은 아주 잘하는 일이다. 사내교육은 단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적인 노하우만을 가르치는 것은 아니다.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제대로 된 고급인력을 양성한다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래야만 여기에 투자되는 돈과 시간이 아깝지 않다. 국내 모 유명 가구회사의 경영자가 이런 말을 했다. “매출을 올리려고 애를 쓰면서 이것저것 다 해봤는데 결국 결론에 이른 것은 사원들에게 교육을 많이 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단기적으로는 몰라도 장기적으로 볼 때 훨씬 더 많은 매출을 올리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사원에서 대리, 과장으로 올라가면서 저절로 능력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열심히 노력하고 공부할 때 하나씩 쌓여지는 것이다. 갑자기 만들어지는 실력은 갑자기 바닥이 드러난다. 비록 느리지만 단계별로 착실하게 내공을 쌓은 사람만이 결국에는 오래가고 보다 중요하고 큰일을 감당할 수 있다.
아무리 첨단과학이 발달해도 결국은 사람이 해답이다
國 家 安 危 之 主 也
나라 국 집 가 편안할 안 위태할 위 갈 지 주인 주 어조사 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