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회 복귀 의원들의 움직임
▶나토정상회의·여론조사 변수
▶ 당안팎 사퇴요구 확산 속 바이든 강력 경고하며 대치
지난달 27일 대선 후보 TV토론이 불러온 민주당 안팎의 조 바이든 대통령의 거취 논쟁을 둘러싸고 당사자의 ‘버티기’와 당 안팎의 ‘재선 도전 포기’ 압박이 팽팽하게 대치하는 형국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TV토론에서 맥락을 벗어난 발언을 하고 작고 쉰 목소리로 자주 말을 더듬은 이후 10여 일 사이에 미국 대선의 핵심 이슈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건강 및 인지력 리스크’로 급변했다.
전체 미국민 사이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4년 더 정상적으로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심이 확산했고 민주당의 일반 당원 사이에서도 ‘바이든으로는 트럼프를 이길 수 없다’는 의견이 힘을 얻었다. TV토론 직후인 지난달 28∼29일 CBS와 유거브 조사(오차범위 ±4.2%포인트)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대선에 출마해서는 안 된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 응답자의 72%, 민주당원의 46%로 각각 집계됐다.
그러나 이 같은 민심은 아직 백악관과 의사당의 담벼락을 넘어섰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TV토론 이후 ‘사퇴 불가’를 선언한 채 잇달아 TV 인터뷰와 경합주(노스캐롤라이나·위스콘신·펜실베니아주) 유세를 진행하며 ‘반전’을 모색했다. 민주당 의원들에게 자신의 재선 도전 포기는 없다고 쐐기를 박으며 사퇴요구는 해당 행위이고, 반민주적인 행동이라는 으름장을 담은 서신도 보냈다.
연방 의회의 민주당 의원(하원 213명·상원 47명 등 260명)들은 통일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 7일까지 공개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포기를 요구한 민주당 현역 의원은 로이드 도겟(텍사스) 등 5명이고, 비공개회의에서 바이든의 포기를 요구한 민주당 상임위 간사 4명을 포함해도 아직 두 자릿수에 못 미쳤다. 민주당 의원들이 ▲바이든의 완주 지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으로의 후보 교체 ▲미니 경선을 통한 후보 선출 등으로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이 출마 의지를 강하게 고수하면서 논의는 방향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선과 함께 11월 의회 선거도 치러야 하는 민주당은 그야말로 혼돈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바이든 재선 캠프를 포함한 민주당은 지난 대선 결과에 불복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하며 트럼프의 재집권 저지로 11월 대선의 ‘프레임’을 짰다.
그러나 TV토론을 계기로 전국적 대선 논의의 중심이 5월말 성추문 입막음돈 제공 관련 ‘유죄 평결’과 함께 증폭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부적격성 문제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건강과 인지력 문제로 전환된 데 대해 민주당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표정이다. 민주당의 책사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데이빗 엑설로드는 8일 보도된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심각한 결함이 있는 후보이지만 지금 바이든 캠프가 트럼프에게 포커스를 맞추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거취 문제는 앞으로 1∼2주 안에 고비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의회가 여름 휴회기를 끝내고 8일 재소집된다. 의원들이 의정활동 재개를 위해 의회에 복귀하면서 자연스럽게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 사퇴 문제에 대한 공론의 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마크 워너 상원 의원은 당장 8일 상원의원들을 만나 대책을 논의하려고 했다. 워너 의원의 계획은 9일 상원 의원 오찬 모임이 잡히면서 일단 취소됐으나 당장 11월에 선거를 치러야 하는 의원들의 대책모임은 당분간 잦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9∼11일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는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서 자신의 리더십과 존재감을 확인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과정에서 러시아에 맞서 나토를 결속시킨 것은 바이든 대통령이 중요한 외교·안보 성과로 자평하는 부분이다.
또 경쟁자인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2월 유세 때 국내총생산(GDP)의 2% 국방비 지출 공약을 이행하지 않는 나토 회원국에 대해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하고 싶은대로 하라’고 하겠다고 말해 거센 비판을 불렀던 만큼 트럼프와 자신을 대비시킬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