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개인별로 달라… 부정맥 유발 요인 피해야 예방”

4

-불규칙한 심장박동… 일부는 생명까지 위협, 유발 요인 피해야

-서맥·빈맥·조기수축·심방세동 등 부정맥의 원인과 종류 다양해

-부정맥 당시 증상과 배경 정보 정확히 전달할수록 진단에 도움

-치료는 개인별 맞춤 전략이 중요, 부정맥 전문의와 상의해야

-고혈압·당뇨 등 위험인자 관리해야 예방… 꾸준한 운동도 도움

“부정맥의 종류가 다양하듯 부정맥의 증상도 개인별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특히 일부 부정맥은 뇌졸중 등 심각한 합병증뿐 아니라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평소 질환에 대한 이해와 함께 예방, 관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김수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부정맥의 관리와 예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부정맥이란?

건강한 사람이 가만히 쉴 때 심장 박동수는 1분에 60~90회다. 운동하거나 흥분하면 이보다 빨라지고 수면 중에는 이보다 느려진다. 부정맥은 심장박동이 정상 범위보다 너무 빠르거나 느리거나 또는 불규칙한 다양한 경우를 아우른다.

-부정맥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

부정맥은 여러 형태가 있지만 크게 조기수축, 서맥, 빈맥, 심방세동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정상 심장박동은 심장의 위쪽(우심방)에 위치한 동방결절에서 전기신호가 발생해 방실결절로 전달되고 이를 통해 심실 근육이 수축해 심장의 수축이 이뤄진다. 그러나 심장의 다른 부분에서도 전기신호를 만들면 심장이 추가로 수축하게 되는데 이를 조기수축이라 한다. 조기수축은 건강한 사람에서도 관찰될 수 있고, 커피나 술을 마신 후, 스트레스를 받으면 심해지기도 한다. 쿵 떨어지는 느낌, 맥이 건너뛰는 느낌,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정상 맥박은 안정한 상태에서 1분에 60-90회 정도다. 맥박이 이보다 느린 경우를 서맥, 빠른 경우를 빈맥이라고 한다. 서맥, 빈맥 모두 맥박이 과도하게 느리거나 빨라 심장이 혈액을 제대로 펌프질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호흡곤란이나 흉부 압박감, 어지러움, 실신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심방세동은 빠르고 불규칙한 심장박동이 계속되거나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부정맥이다.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실신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고, 평소 증상이 없다가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많다. 고령,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높다. 또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어도 나이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하는데 전체 인구의 2% 이상, 80세 이상에서는 15% 이상이 심방세동 환자다. 증상이 없더라도 치료하지 않으면 심부전, 뇌졸중, 돌연 심장사 위험이 2~5배 증가하기 때문에 심방세동을 진단받았다면 전문가와 상의해 꾸준히 관리하고 치료해야 한다.

-부정맥이 의심돼 병원을 찾을 때 준비할 점이 있다면?

부정맥의 원인과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부정맥으로 인한 증상이 있을 때의 상황을 자세히 전달하면 진단에 도움이 된다. 과거 병력, 가족력, 복용 중인 약물 처방전 또한 지참하는 것이 좋다.

-부정맥이 나타나면 어떤 치료가 이뤄지나?

개인별 맞춤형 접근이 요구되는 만큼 부정맥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서맥이나 빈맥은 유발하는 약제나 원인이 있다면 중단하는 것이 우선이다. 조기수축은 증상, 빈도, 심장질환 유무에 따라 치료가 결정된다. 심방세동은 뇌졸중 발생 위험도를 평가해 뇌졸중 예방을 위해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항부정맥제 또는 시술 등의 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

-부정맥 환자가 지켜야 할 생활습관이나 예방법이 있다면?

부정맥을 악화시킬 수 있는 원인을 피해야 한다. 대표적인 것이 술, 카페인, 스트레스다. 커피 외에도 에너지음료, 탄산음료, 홍차나 아이스티, 콜라(제로콜라 포함), 자양강장제, 종합 감기약 등에도 카페인이 포함돼 있다. 술도 부정맥, 특히 심방세동의 중요한 원인이다. 소량의 음주라도 장기적으로 심방세동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한다.

기존에 알고 있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등의 지병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부정맥을 예방하고, 부정맥으로 인한 증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 적절한 운동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평소 운동을 거의 하지 않았다면 가벼운 걷기 등 유산소 운동부터 시작해 서서히 운동량을 증가시키고, 코어 운동 등 근력운동을 병행해 주 4~5회 30분 이상 꾸준히 운동하는 것을 권고한다.

<장익경 특파원 / 서울 시카고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