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 확대에 극도의 염려”… 트럼프, 종전시계 앞당기나

17
지난 22일 우크라이나 군 장병들이 전투 훈련을 하고 있다. [로이터]

▶ 제3차 세계대전 위기 치닫는 우크라 전쟁
▶ 왈츠 “트럼프, 전쟁 확전에 ‘극도로’ 염려”
▶ 대인지뢰·미사일 투입되고 개입국도 늘어
▶ ‘트럼프 취임 즉시 종전 위해 속도’ 관측

내년 1월 출범할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안보 핵심 인사가 미국이 직면한 우크라이나전쟁과 중동전쟁에 대해 서로 다른 종결 구상을 밝혔다. 우크라이나전쟁은 주고받기식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한 조기 종전에 방점을 찍고 있는 반면, 중동의 가자전쟁(이스라엘-하마스전쟁)은 제2의 아브라함협정 등을 통한 ‘큰 그림’을 그리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극도로 우려하고 있는 만큼 내년 1월 취임하자마자 종전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인 마이크 왈츠 연방하원의원은 24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조 바이든 행정부가 대인지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것과 관련해 “1차 대전 때의 참호전과 상황이 비슷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리멸렬한 교착상태에 빠져 사상자만 다수 발생하는 생지옥이 되고 있다는 뜻이다. 그는 “트럼프 당선인도 충돌의 확대와 그 방향에 대해 극도로 염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왈츠 의원이 언급한 ‘충돌의 확대’는 우크라이나 및 서방 동맹국과 러시아가 ‘강 대 강’ 구도로 맞붙으며 공격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을 의미한다. 북한이 러시아를 돕기 위해 파병하자 미국·유럽이 기존 방침을 바꿔 우크라이나에 서방 지원 미사일로 러시아 본토를 공격하는 것을 허락했고 러시아도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IRBM)로 우크라이나 주요 도시를 타격하면서 전황이 극도로 악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여하는 국가들이 급속도로 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왈츠 의원은 “북한이 움직이자 미국이 움직였고 러시아가 대응했으며 이란이 개입했다. 한국도 개입을 고려하고 있으며 동맹국들은 미사일 사거리를 연장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달 7일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군이) 현대전 경험을 쌓게 되면 우리 안보에 치명적 문제가 될 수 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이러한 발언을 의식한 듯 “한국산 무기가 러시아 시민을 살상한다면 양국 관계가 완전히 파괴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면서 “필요한 모든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력한 어조로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이란 등의 개입을 특히 우려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러시아가 친이란 무장세력 후티 반군을 통해 예멘 청년들을 모집하고 강제로 러시아군에 편입해 우크라이나 최전방으로 보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가 북한군 1만 1000여 명뿐 아니라 네팔과 인도·예멘까지 전쟁에 끌어들이고 있는 셈이다. FT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에 적대적인 모든 국가 및 반군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접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장에는 이미 수백 명의 예멘인이 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군 역시 이날 우크라이나군과 쿠르스크에서 교전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북동부 하르키우와 남동부 마리우폴 등에서도 북한군이 군사작전을 수행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지난달 29일 러시아 북부에서 대륙간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가 이뤄지고 있다. [로이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국제사회는 트럼프 당선인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미국이 나서서 종전을 이끌어야 한다는 분위기가 강해진 것이다. 왈츠 의원도 이날 “우리는 전쟁을 책임 있게 끝내야 한다”며 “대통령 당선인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논의해야 하는 것은 합의든 휴전이든 양측을 어떻게 테이블에 앉힐 수 있느냐, 충돌을 끝내기 위한 거래의 틀을 어떻게 하느냐에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왈츠 의원은 트럼프가 구상하는 종전 방안이 무엇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거래의 틀’이라는 발언을 내놓은 만큼 정치적 타협을 시도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왈츠 지명자는 가자전쟁에 대해 조기 종전보다는 중동 평화의 새로운 틀을 만드는 일을 강조했다. 그는 “단지 미래의 ‘10·7’(작년 하마스의 이스라엘에 대한 기습공격)을 막는 것에 그치지 않고, 중동에 진정한 안정을 가져오고, 수년 전 아브라함 협정과 같은 합의의 무대를 만드는 일부 합의를 도출할 때”라고 말했다.

아브라함 협정은 2020년 트럼프 당시 대통령 주재로 이스라엘과 아랍권 국가인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모로코 등이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것을 의미한다. 트럼프 당선인이 우크라이나전쟁 조기 종전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과 달리,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해서는 포괄적인 중동 평화의 틀 구축과 같은,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있음을 시사한 발언이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하마스 소탕이라는 전쟁 목표를 완수할 시간을 벌어 주는 동시에, 현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강조해온 ‘2국가 해법’(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개별 독립국가로 공존하는 구상)을 대체할 새로운 중동 평화 이니셔티브를 만드는, 더 중장기적 목표를 추구할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