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월마트에 “관세 감당하라” 압박

81
<사진-더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말 월마트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지난해 수십억 달러를 벌었으니 관세 부담을 감수하라”고 압박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0일, “중국이 관세를 흡수할 것”이라며, 월마트가 다음 달부터 가격 인상을 예고한 데 대해 다소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은 관세로 인한 소비자 물가 상승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시도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학자들과 CEO들은 이미 관세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지적해왔다.

보수성향 싱크탱크 ‘아메리칸액션포럼’의 더글라스 홀츠-이킨 대표는 “소매업체는 평균 마진이 3%밖에 안 되는데 30%의 관세를 모두 떠안으라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주 중국에 대한 수입품 관세를 기존 145%에서 30%로 낮추는 90일간의 유예 조치를 시행했다. 이에 맞서 중국도 보복관세를 125%에서 10%로 인하했다.

하지만 30%의 관세만으로도 월마트는 큰 부담을 안고 있다. 더그 맥밀런 월마트 CEO는 실적 발표에서 “우리는 모든 부담을 감당할 수 없다”며 “이르면 6월부터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지켜보고 있을 것”이라며 소비자들도 함께 지켜보라고 경고했다.

월마트는 지난해 약 6745억 달러 매출에 294억 달러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는데, 이는 4.4%의 영업이익률에 해당한다. 지난해 중국에서 수입한 상품은 약 490억 달러 규모로, 30%의 관세가 부과되면 약 150억 달러에 달하는 손실이 발생한다는 계산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압박은 결국 가장 낮은 마진을 가진 기업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월마트 외에도 마텔, 포드, 티무, 셰인, 마이크로소프트 등 여러 기업이 관세 부담을 이유로 가격 인상을 예고한 상태다. 반면 홈디포는 “현재의 가격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1기 상무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인의 62%가 주식에 투자하고 있으며, 월마트는 대부분의 401(k)와 IRA 계좌에 포함된 종목”이라며 “결국 관세 부담은 국민의 노후자금에 전가되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투자자 케빈 오리어리도 “트럼프가 원하든 말든 소매업체들은 관세를 전부 감당할 수 없다”며 “소비자와 기업이 고통을 분담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실제로 얼마나 부담할 것인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당시 “미국이 외국에 당하고 있다”며 관세 부과를 정당화했으며,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만큼 되갚아주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일에는 ‘경제해방일’이라고 언급했지만, 일주일 만에 금융시장 혼란과 공화당 내 반발로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19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협상이 진지하지 않으면 4월 2일의 관세 수준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월마트 CEO와 직접 통화했으며, 기업들도 일부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동시에 “소비자들도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심영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