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만에 60% 아래로 내려간 달러···왜?

483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미국 국채 등 달러화 표시 자산 보유 규모를 줄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달러화 표시 자산 비중이 지난 1995년 이후 처음으로 60% 아래로 떨어졌다. 막대한 규모의 부양책으로 미 정부 부채가 걷잡을 수 없이 커져 달러 가치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으로 신흥국들이 자산 운용을 다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전 세계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달러 표시 자산 비중이 2020년 말 59%로 전년 대비 1.7%포인트 하락했다. 이 비율이 60% 이하를 보인 것은 1995년 이후 25년 만이다. 닛케이는 “2001년 말 기준 70%가 넘었던 달러 비중이 점차 하락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환율 개입이나 정부 부채 변제 등에 대비해 외화 표시 자산을 쌓아둔다. 일반적으로 신용도나 환금성이 높은 주요국의 국채나 금으로 보유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신흥국들이 최근 달러 비중을 줄이고 있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2020년 말 기준 약 1조 700억 달러(1,200조 원)로 7년 전에 비해 20%가량 줄었다. 러시아 중앙은행도 달러 비중이 2017년 약 50%에서 2020년에는 20%까지 급감했다. 터키와 브라질 등도 최근 몇 년간 미 국채 보유를 줄이고 있다.

달러의 빈 자리는 유로화나 일본 엔화가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유로 표시 자산 비중은 지난해 말 21%로 6년 전 수준을 회복했으며 엔화는 20년 만에 6%대로 올라섰다. 중국 투자가들은 지난해 2조 2,000억 엔(약 22조 5,814억 원) 규모에 달하는 일본 중장기채를 매입했다. 이 밖에 전 세계 외환보유액 가운데 중국 위안화 비중도 2%를 넘어섰다. 특히 러시아의 전체 외환보유액 중 위안화 비율은 2017년 6월 0.1%에서 지난해 9월 기준 12.3%까지 확대됐다. 이런 추세는 달러 약세 전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실제 미 의회예산국(CBO)은 연방정부 부채가 2051년에 미국 경제 규모의 2배 이상으로 커질 것이라면서 중장기적 경제 위험 요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각국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 대비 차원에서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닛케이는 중앙은행들이 최근 10년간 금을 순매수해왔다고 전했다. 러시아의 경우 지난해 금 보유량이 미국 달러 보유량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김기혁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