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동부가 5~6월의 고용 증가 수치를 크게 하향 조정하면서, 최근 석 달 동안의 고용 실적이 처음 발표된 것보다 훨씬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동통계국(BLS)은 7월 고용 보고서와 함께 5월과 6월의 고용 수치를 수정 발표했으며, 두 달 동안 실제로는 25만 8천 개의 일자리가 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수정된 수치에 따르면 5월에는 당초 발표된 14만 4천 개 대신 단 1만 9천 개의 일자리가 늘어났고, 6월에는 14만 7천 개로 발표되었던 것이 실제로는 1만 4천 개 증가에 그쳤다. 7월 고용 증가폭도 7만 3천 개로, 최근 3개월 동안 증가한 일자리는 총 10만 6천 개로 줄어들었다.
뱅크레이트의 마크 햄릭 수석 경제 분석가는 “미국의 고용 증가가 거의 멈췄다”며 “최근 3개월 동안 민간 부문 고용 증가가 평균 5만 개 수준에 불과했다”고 분석했다.
고용 수치는 보통 나중에 수정되지만, 이번처럼 대규모 하향 조정은 전문가들과 시장을 놀라게 했다. 최근 발표된 경제 지표들이 좋은 편이었기 때문에 충격이 더 컸다.
7월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의료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고용이 정체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동결한 이틀 후에 발표됐다. 당시 연준 이사 중 두 명은 금리 인하를 주장했다.
고용 둔화와 인플레이션 우려가 동시에 있는 상황에서 연준의 대응은 더 어려워졌다. 금리를 낮추면 경기 부양과 고용 확대에 도움이 되지만,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 반대로 금리를 높게 유지하면 물가는 안정되지만 고용 시장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EY-파르테논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정책 불확실성, 관세, 이민 감소 등이 고용주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며 “미국 경제는 고용 감소 국면에 접어들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노동 시장은 연준의 예상보다 훨씬 약하며, 연준이 상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승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