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APEC] 中日, 위기관리 염두 ‘안정적 관계’ 방점…갈등 점화 가능성도

8
첫 회담하는 시진핑-다카이치_(경주 교도=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31일 경주에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 발언하고 있다.

시진핑, ‘강경보수’ 다카이치와 경주서 첫 회담…양측 모두 소통·대화 강조
축전 안보낸 시진핑, 취임 축하 안해…다카이치, 中인권·동중국해 우려 전달
한중일 정상회의 日개최 주목…日언론 “우발적 충돌 회피 위해 대화 필요”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친대만’ 행보를 보였던 강경 보수 성향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31일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했다.

시 주석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일본 총리들과 회담해 왔는데, 올해는 야스쿠니신사를 정기적으로 참배하고 역사 문제에서 강경 발언을 해왔던 다카이치 총리 취임 직후여서 중일 정상 간 만남 여부가 관심을 끌었다.

이날 오후 경주에서 약 30분간 만난 시 주석과 다카이치 총리는 모두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관계’, ‘전략적 호혜 관계’를 언급했다. 양 정상은 갈등을 관리하며 교류를 이어가는 것이 이익이 된다는 현실적 판단에 따라 대화와 소통도 강조했다.

전략적 호혜 관계는 양국 입장이 달라도 역사 문제 등으로 대립하기보다는 경제·국제질서 등에서 실리를 추구하자는 방침이다.

다카이치 총리는 회담 직후 취재진과 만나 “방위 당국 간 실효성 있는 위기관리와 의사소통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시 주석과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사실 이번 회담은 성사 여부가 불투명한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 4일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다카이치 총리가 당선됐지만, 연정 구성 문제로 정국 혼란이 길어지면서 보름여 지난 21일에야 취임했다.

시 주석은 2020년 이후 일본 총리가 국회에서 선출됐을 때마다 취임 당일 축전을 보냈다. 하지만 다카이치 총리가 취임했을 때는 리창 국무원 총리 명의 축전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일부 언론은 다카이치 총리를 향해 “여러 차례 중국을 비난하는 발언을 했고 거듭 난징대학살을 부정했으며 대만 문제에서 망언했다”고 비판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자민당 총재로 당선되고 총리로 취임하기 전까지 기간에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인권 문제를 논의하는 집회에 메시지를 보내 중국공산당의 인권 탄압을 비판했고, 대만을 “지극히 중요한 파트너”라고 언급하며 중국을 자극했다.

하지만 한국, 중국과 관계 등을 고려해 이달 17∼19일 야스쿠니신사 가을 예대제(例大祭·제사) 때는 자신의 관례를 깨고 참배를 보류했다.

이어 지난 24일 총리 취임 후 첫 국회 연설에서는 중국을 ‘중요한 이웃 국가’로 지칭한 뒤 정상 간에 솔직한 대화를 거듭할 필요가 있다며 시 주석과 회담 의지를 피력했다.

이후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과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이 28일 통화해 교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양국 정상 간 만남 가능성이 커졌다는 견해가 퍼졌다.

중국은 최근 북한, 러시아와 밀착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올해 1월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한국, 일본과도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중국은 일본이 2023년 8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를 방류한 직후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금지했다가 지난 6월 수입을 재개한다고 발표했고, 7월에는 일본산 소고기 수입 재개에 필요한 협정을 발효했다.

시 주석과 다카이치 총리가 회담하기는 했지만, 향후 중일 관계는 불투명한 부분이 적지 않고 갈등이 점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이날 회담에서 시 주석은 모두 발언에서 취임을 축하한다고 언급하지 않았고 원론적 메시지를 전하는 데 그쳤다. 대만 문제를 간접적으로 거론하며 다카이치 총리를 압박하기도 했다.

다카이치 총리도 중국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홍콩 등 인권 문제를 거론하고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비롯한 동중국해 상황에 대해 우려를 전달했다. 또 일본산 수산물과 소고기 수입 재개를 위해 긍정적 대응을 해 달라고 요청했다.

양국이 대화의 끈을 이어갈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늠자는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의 의장국은 일본이다.

이시바 시게루 전 일본 총리는 연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추진했는데, 중국과 일본이 이를 어떻게 조율할지가 주목된다. 한중일 정상회의에는 이재명 대통령, 리창 총리, 다카이치 총리가 참석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양 정상은 트럼프 정권으로 불안정한 국제 정세를 고려해 대화를 지속하는 것을 우선시했다”며 “미중 대립이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일본과 관계를 악화하는 것은 좋은 계책이 아니다”라고 해설했다.

이어 “중일 간에는 우발적 충돌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위기관리 의미에서도 정상 간 대화는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