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이 미국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을 대상으로 한 관세 완화 프로그램을 연장한다고 18일 발표했다. 동시에 대형 트럭과 버스에 대한 새로운 수입관세 부과 방안도 구체화했다.
지난 4월 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및 부품에 중복 관세가 부과되는 것을 막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북미 지역 완성차 업체들의 관세 부담이 급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에는 자동차 산업에 적용되던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에 대한 완화 조치도 포함됐다. 이번 백악관 발표는 기존 2년짜리 관세 상쇄 프로그램을 5년으로 연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미국 내 자동차 생산 확대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우선 과제”라며 “이번 조치는 그 목표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종종 멕시코나 캐나다에서 부품을 조립한 뒤 이를 미국으로 들여와 완성차로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 부품이 국경을 여러 차례 오가며 중복 관세가 쌓이는 구조다.
이번 조치는 수개월간 이어진 자동차 업계의 로비 끝에 나온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이 여전히 산업계 압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짐 팔리 포드 CEO는 지난 7월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우리의 목표는 관세 체계를 단순화하는 것”이라며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상당한 이익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포드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빅3’ 중 가장 높지만, 올해만 약 20억 달러 규모의 관세 비용을 부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월 말 “세계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모든 대형 트럭에 대해 25%의 수입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지만, 10월 1일 시행일은 넘겨졌다. 이후 트럼프는 ‘트루스 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시행일을 11월 1일로 연기한다고 밝히고, 이날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김승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 847.290.8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