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재정 위기 ‘비상등’… 11억 달러 적자

154
사진 nbc chicago

존슨 시장 “돌아갈 수 없다… 부유층·기업이 책임져야”

시카고의 재정 위기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브랜든 존슨 시장은 “더 이상 돌아갈 수 없는 지점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시는 2026년 예산안을 앞두고 약 11억 달러 규모의 적자 해결 방안을 고심 중이다.

존슨 시장은 5일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교육, 의료, 주거, 교통처럼 시민들이 일상에서 의지하는 시스템들이 심각하게 부족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해오던 방식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존슨 시장은 고소득층과 대기업에 새로운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른바 ‘진보적인 세금 개편’을 통해 추가 재정을 확보할 계획이다.

시는 최근 주정부가 서명한 경찰·소방관 연금 확대 법안 이후 더 큰 재정 부담을 안게 됐다. 해당 법안으로 인해 시의 장기 연금부채는 110억 달러 이상 증가했다. 시는 이로 인해 예산 압박이 더 심해졌다고 설명했다.

존슨 시장은 “주지사가 틀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하지만 나의 역할은 분명 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시장은 올해 가을 시의회에 예산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그는 “시민들이 이 예산안을 평가하고 직접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시가 검토 중인 방안에는 다음과 같은 세금이 포함될 수 있다. 대기업에 대한 급여세, 직원 1인당 부과하는 ‘헤드택스’, 그리고 도심 진입 차량에 요금을 부과하는 혼잡 통행세 등이다. 다만 정치적 부담이 큰 재산세 인상은 제외한 상태다.

존슨 시장은 “초고소득층과 자산을 많이 가진 사람들이 더 많은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며 “그것이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시카고 상공회의소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회장 잭 라빈은 “이런 세금은 경제 성장에 해가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업 입장에서는 시카고에서 고용을 꺼리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존슨 시장은 시카고 공립학교에 대한 주정부 지원 부족도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공립학교에 지급되지 않은 예산만 16억 달러에 이른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건 나의 주장이 아니라 주정부가 공식적으로 밝힌 수치”라고 덧붙였다. 존슨 시장은 “누가 피해를 보고 있는가? 바로 우리 아이들과 교사들”이라며 “교육 현장이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예산안은 오는 10월 발표될 예정이다. 시장은 “친기업적이고, 성장 중심적이며, 노동자 친화적인 방향이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윤연주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