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국 고위직 인사 제재 사실 발표 

26
<사진 Epoch Times>

지난달 홍콩관리 6명 제재한 미국에 대한 보복조치 

중국 외교부가 홍콩에 체류한 미국 고위직 인사를 제재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지난 21일 “홍콩 관련 문제에서 민감한 행동을 한 미국 하원의원, 정부 관리, 비정부기구 책임자 몇 명을 제재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이같은 조치는 지난달 미국이 홍콩의 자치권을 훼손한 혐의로 중국과 홍콩 관리 6명을 제재한 데 따른 조치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누가 어떤 제재를 받았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제재 사실을 발표하면서 “홍콩은 중국의 홍콩이라는 점을 미국에 경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제재한 인물 중에는 폴 람 홍콩 법무부 장관, 동징웨이 홍콩 보안국장, 레이먼드 시우 전 홍콩 경찰청장 등이 포함돼 있다.

최근 몇 주 동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도 관세로 보복하면서 미중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대부분의 국가에 대한 수입 관세를 중단했지만, 관세를 145%로 인상하며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했다.

중국 상무부는 “중국의 국익에 해를 끼치면서 미국과 거래하는 모든 국가에 반대하며 호혜적인 방식으로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중국 정부는 미국과의 대화에 열려 있다고 밝혔지만 아직 양국간의 회담일정은 발표되지 않았다. 

백악관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및 주사기와 같은 일부 중국 제품은 상호 부과금, 중국산 펜타닐 전구체에 대한 관세, 트럼프 및 바이든 행정부에서 부과된 7.5%에서 100%에 이르는 슈퍼 301조 관세의 복합적인 효과로 최대 245%의 관세를 부과받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를 피하기 위해 우회수출을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허점을 막겠다며 멕시코에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것을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트럼프는 중국이 협상에 동의한다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하거나 유예할 용의가 있다고 이미 밝힌 바 있지만, 그의 제안은 중국의 공개적인 거부로 무산됐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15일 언론브리핑에서 “공은 이미 중국에게 넘어갔고, 이제 중국은 우리와 합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레빗 대변인은 그러면서 “우리는 그들의 물건을 살 필요가 없으며, 중국 제품과 다른 나라의 것과는 차이가 없고, 중국 경제는 미국 소비자에게 의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23일 유엔 안보리 비공식 회의를 소집해 미국이 관세를 무기로 괴롭히고 있다고 비난 성명을 낼 전망이다. 이 회의에 유엔 193개국 회원국 모두를 초대했다.  

<심영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