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차는 절반이 나몰라라
▶ 미납에도 연임 사례 많아
▶ “회비 납부 형평성 확보 ‘얌체’ 관행 끊어야” 지적
22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평통) LA 및 OC·SD 지역협의회가 새롭게 출범했지만 여전히 ‘회비 미납’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평통 위원들의 임기 첫해에는 80% 안팎의 회비 납부율을 보이지만, 2년 차에 접어들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자문위원들은 2년 임기 동안 단 한 번도 회비를 내지 않고도 연임에 성공한 사례까지 있어 내부의 자정 노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번 22기 LA 평통 자문위원 149명, OC·SD 평통 103명 중에서도 21기 당시 회비를 내지 않은 위원이 일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평통 자문위원의 회비 납부는 법적 의무는 아니지만 사실상 필수적인 관행으로 여겨진다. 평통 사무처의 지원금만으로는 지역협의회 운영이 어려워 회비가 주요 재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위원들이 이를 악용해 회비는 내지 않으면서도 자문위원 직함만 유지하는 ‘얌체 위원’으로 비판받고 있다.
LA 평통의 지난 20기 사례를 보면, 1차년도 납부율은 약 78%로, 자문위원 137명 중 107명이 회비를 냈다. 하지만 2차년도에는 납부율이 50~60%대로 급감했다. LA 평통 관계자는 “신규 위원 중에는 평통의 역할을 잘 모르고 참여했다가 중도에 활동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고, 일부는 규정의 느슨함을 악용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현재 LA 평통의 1년 회비는 직책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회장은 1만 달러, 수석부회장은 5,000달러, 상임부회장은 4,000달러, 일반 부회장은 2,500달러, 분과위원장은 1,500달러, 일반 자문위원은 600달러를 납부해야 한다. 이 회비는 평통 사무처에서 내려오는 예산의 부족분을 충당하며, 각종 행사 및 사업 운영비로 사용된다.
한편 자문위원들 사이에서는 “평통은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데 왜 회비를 내야 하느냐”는 불만도 적지 않다. 또 “회비 납부 여부로 위원을 평가하는 것은 평통의 본연 역할과 다르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한 자문위원은 “회비가 부담스러운 사람도 있겠지만, 본인의 책임을 망각한 채 직함만 유지하려는 태도는 문제”라고 꼬집었다.
LA 평통뿐 아니라 다른 지역협의회에서도 회비 문제는 늘 논란거리다. 샌프란시스코의 한 전직 평통 위원은 “연회비를 내지 않거나 회의에도 참석하지 않는 위원은 차기 위원 후보에서 배제해야 한다”며 “조국을 사랑하고 통일운동에 헌신할 인사들이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평통 사무처가 지역협의회에만 납부 여부를 맡길 것이 아니라, 통일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회비 납부의 형평성을 확보하고, 차기 자문위원 선발 과정에서 납부 여부를 평가 항목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LA 평통의 한 전직 회장은 “자문위원은 무보수 명예직이지만, 회비 납부는‘자발적 참여’의 상징이자 평통 활동의 실질적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OC·SD 평통의 한 관계자도 “22기에는 회비 납부율 제고뿐 아니라 책임 있는 참여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며 “평통은 친목이나 명예가 아니라, 통일정책을 함께 고민하는 공적기구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이번 22기 평통이 회비 미납이라는 오랜 고질병을 끊어내고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가 향후 평통의 존재 이유를 가늠하는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노세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