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대학교가 트럼프 행정부에 소송을 제기했다. 하버드는 미 연방정부가 동결한 수십억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해달라며, 이에 대한 소를 법원에 청구했다.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지난 21일 소송을 발표하는 성명에서 “정부의 지나친 개입으로 인한 결과는 심각하고 오래 지속될 것”이라며, “정부가 위험에 빠뜨린 연구에는 암 생존 어린이의 예후를 개선하고, 암이 몸 전체에 어떻게 퍼지는지에 대한 연구와 전염병 확산에 대한 예측, 전장에서 부상당한 군인의 고통을 완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 소송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하버드 대학에 10억 달러의 자금지원을 추가로 보류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온 지 몇 시간 후에 제기됐다. 이로써 지급 동결된 총액은 32억 달러에 달하게 됐다. 대통령은 또한 하버드의 면세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위협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추가 삭감의 이유를 자세히 밝히지는 않았다.
하버드 측은 소장에 “정부가 교육 기관을 잘못 관리하고 있으며, 의료 혁신, 과학적 발견 및 혁신적인 솔루션을 추구하는 기관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하버드는 지난해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에 맞서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의 의학연구를 반유대주의 사건과 연결시킬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수십억 달러의 연구 자금 손실이 하버드를 비롯한 미국의 의료 및 연구 기관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버드 대학교는 이어 “하버드가 동결된 연구비를 자체 자원으로 계속 대체한다면 입학하는 대학원생 수와 연구 수행에 필요한 교수진 및 연구진의 수를 줄여야 할 것이며, 연구를 위한 최첨단 물품, 장비, 시설을 계속 조달하고 유지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러한 자금동결은 곧 매사추세츠주와 연방 차원의 경제적 피해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했다.
이 갈등은 DEI 프로그램과 캠퍼스 반유대주의에 관한 행정명령에서 시작됐다. 연방정부는 하버드 캠퍼스에서 유대인 학생들에 대한 괴롭힘이 발생했다는 이유로 이 대학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이달 초 교육부, 보건복지부, 일반 서비스국은 하버드가 약 900만 달러의 연방 지원금 손실을 피하기 위해 충족해야 할 조건을 제시했다. 해당 조건에는 캠퍼스 시위대의 마스크 착용 금지, 채용 및 학생 입학 시 인종 우대 프로그램 종료, 반유대주의를 조장하는 편향된 프로그램에 대한 개혁, 학생 징계 시스템 정비, 국토안보부와의 협력 등이 포함됐다.
앨런 가버 하버드 총장은 “캠퍼스 커뮤니티에 이러한 연방 정부의 조치가 대학의 권한을 넘어서는 것이며 대학의 독립성과 헌법적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며 이러한 요구를 거부했다.
이에 따라 반유대주의 태스크포스로 조직된 3개 연방기관은 같은 날 22억 달러의 자금 동결을 발표하며 대응에 나섰다.
태스크포스는 성명에서 “최근 몇 년 동안 캠퍼스를 괴롭힌 학습 방해는 용납할 수 없다”면서 “유대인 학생들에 대한 괴롭힘은 용서될 수 없고, 납세자의 지원을 계속 받으려면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약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영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