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페루서 첫 보고
아르헨 대통령도 감염
“전파력·위험 정확히 확인 안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가 전 세계에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람다’로 명명된 또 다른 변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미를 중심으로 퍼진 람다 변이는 최근 들어 새롭게 출현한 변이는 아니다.
13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람다, 즉 ‘C37’변이는 지난해 12월 남미 페루에서 처음 확인됐다. 다른 바이러스들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도 끊임없이 진화하고, 무수한 변이를 만든다.
모든 변이가 위험하거나 의미 있는 것은 아니어서 WHO는 기존 바이러스 대비 전파력이나 치명률 등에 변화가 있는지, 백신이 효과가 있는지 등을 고려해 ‘우려 변이’와 ‘관심 변이’를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현재 우려 변이엔 영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인도에서 발견된 변이들이 차례로 알파, 베타, 감마, 델타로 명명돼 지정돼 있다.
그보다 한 단계 낮은 관심 변이로는 지난달 14일 추가된 람다를 포함해 에타, 요타, 카파 등 4종이 있으며, 기타 감시 대상인 변이도 10여 종이 있다. 람다 변이의 경우 관심 변이로 지정되기 전엔 일명 ‘안데스 변이’로 불렸다.
현재 남미 각국과 미국, 캐나다, 유럽 일부 국가 등 약 30개국에서 람다 변이가 확인됐다.
WHO가 관심 변이로 지정한 것은 기존 바이러스 대비 더 위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 것이지만, 문제는 아직 람다 변이의 전파력 등에 대해 정확히 연구된 것이 없다는 점이다.
페루의 인구 대비 코로나19 사망자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고, 치명률도 9%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이를 근거로 람다 변이가 더 위험하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