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문가들, 바이든에 조언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조언하던 보건 전문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의 공존을 전제로 한 새 방역 전략 수립을 촉구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간 바이든 대통령의 보건자문위에서 활동했던 전직 자문위원 중 6명이 6일 미국의학협회(AMA) 저널에 코로나19 대응 전략의 변경을 촉구하는 논문 3편을 한꺼번에 올렸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이들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코로나19를 완전히 퇴치하기보다는 이 바이러스와 무기한 함께 살아가는 ‘뉴노멀’을 준비하는 등 완전히 새로운 팬데믹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공개 요구했다.
루시아나 보리우 전 식품의약국(FDA) 수석과학자, 에제키엘 이매뉴얼 펜실베이니아대 교수, 릭 브라이트 록펠러재단 팬데믹예방연구소장은 논문에서 “뉴노멀로 향하는 첫걸음”으로 코로나19를 독감을 포함한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 중 하나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매뉴얼 교수는 미네소타대 전염병학자인 마이클 오스터홀름, 뉴욕대의 감염병 전문가 셀린 가운더와 함께 작성한 다른 논문에서 코로나19가 장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정부가 더 넓은 시야에서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바이러스 검사, 감시, 백신, 치료에 관한 세부 정책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논문도 나왔다.
보건 전문가들은 미국에 있는 모든 사람이 저렴한 비용으로 진단검사를 받을 수 있어야 하고,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이고 실시간으로 수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새 변이 바이러스를 겨냥한 차세대 백신, 코에 뿌리거나 피부에 붙이는 새로운 형태의 백신 개발 필요성도 언급했다.
특히 저자들은 어린 학생들을 포함해 더 광범위한 대상으로 백신 의무화 명령을 확대하고, N95 마스크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를 모든 미국인에 공짜로 나눠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바이든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인사들이 앞으로도 많은 미국인이 코로나19에 걸리겠지만, 백신 접종자는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공개 발언을 내놓고 있다.
확진자 급증에도 ‘봉쇄는 없다’는 메시지를 거듭 발신하는 것도 가까운 시일 내에 코로나19를 뿌리뽑기 어렵다는 점에서 경제와 사회의 추가 혼란을 막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