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아프리카 수출품에 대한 관세 전면 철폐 추진

32
<사진-로이터>

중국 정부가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아프리카 53개국의 수출품에 대해 전면적인 관세 철폐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그동안 혜택에서 소외됐던 중진국들에게도 중국 시장의 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은 현재 최빈개도국(LDC)에 한해 무관세·무쿼터 혜택을 제공해 왔으며,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가 이 혜택을 받아왔다. 하지만 이번 계획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나이지리아 등 중진국에도 동일한 무역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무역의 형평성을 높이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중국 외교부는 9월 베이징에서 열린 중-아프리카 정상회의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중국 창사에서 개최된 중국-아프리카 외무장관 회의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은 아프리카로부터의 양질의 제품을 기꺼이 환영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동시에 최빈국이 상대적으로 더 발달한 제조 기반을 가진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탄자니아, 말리 등 LDC 국가들을 위해 마케팅 지원과 전문 인력 교육 등 추가 조치를 약속했다.

아프리카 개발 컨설팅 기관인 ‘디벨럽먼트 리이매진드’(Development Reimagined)의 설립자 해나 라이더는 “이번 조치는 케냐, 남아공, 나이지리아, 이집트, 모로코 같은 중진국들이 이제 중국 시장에 무관세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 평가했다.

중국과 아프리카 간의 무역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왔지만, 무역 수지는 중국에 크게 유리한 구조로 이어져 왔다. 지난해 기준 중국의 대아프리카 무역 흑자는 약 620억 달러에 달했다. 이에 대해 라이더는 “아프리카의 대중국 수출이 동반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면 무역 불균형은 계속 악화될 것”이라며, “중국이 발표한 이번 조치가 무역 균형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해 베이징 정상회의에서 3년간 3600억 위안(약 500억 달러) 규모의 신용공여 및 투자를 아프리카에 약속하며, 팬데믹 이후 다소 주춤했던 대규모 금융 지원을 재개했다.

<심영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