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선트 재무장관, “트럼프 원하면 연준 의장 맡겠다”

58
<사진-더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제롬 파월 의장의 교체를 추진하는 가운데,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지난달 30일 “대통령의 뜻에 따르겠다”며 연준 의장직 수락 가능성을 열어놨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연준 의장이 되고 싶냐”는 질문에 “나는 대통령이 원하는 대로 할 것”이라며 “현재 재무장관직에도 만족하고 있다”고 답했다.

워싱턴 정가에서는 이미 파월 후임을 둘러싼 인선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베선트 외에도 크리스토퍼 월러 현 연준 이사, 미셸 보우만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 등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파월 의장의 연준 의장 임기는 내년 5월까지지만, 연준 이사로서의 임기는 2028년까지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요구하며 파월 교체 필요성을 거듭 강조해왔다.

대통령은 특히 자신이 추진하는 대규모 관세 정책으로 물가가 오를 가능성이 커졌음에도, 연준이 금리를 내리지 않는 데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4%로, 4월(2.3%)보다 소폭 상승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로 인한 비용이 제조업체, 수출입업체, 소매업체, 소비자 중 누구에게 전가될지 지켜본 뒤 금리 조정을 결정하겠다”고 밝혀왔다. 이에 따라 연준은 물가 상승 가능성에 대비해 기준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 중이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를 최소 2~3%포인트는 더 낮춰야 한다”며 “그렇게 하면 미국이 연간 8000억 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만 해도 “파월을 당장 해임해야 한다”고 격한 표현을 썼지만, 최근에는 다소 수위를 낮춘 상태다. 특히 미·중 무역협상이 급물살을 타며 뉴욕 증시가 급등세를 보인 점도 분위기 변화를 이끌었다.

현재 미·중 간 관세 수준은 전체적으로 55%에 이를 전망이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분석에 따르면, 이는 1차 트럼프 행정부 당시 부과된 관세를 포함한 수치다. 국제신용평가사는 미국의 전체 평균 관세율도 14.1%까지 오른 상황이라고 전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오는 9일 미국이 설정한 협상 마감 시한을 앞두고 주요 18개국을 포함해 일련의 무역 합의가 잇따라 발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압박이 높아질수록 마지막 주에 협상 타결이 쏟아질 것”이라며 “재무부, 무역대표부(USTR), 상무부 등에서 20년 넘게 일해온 사람들조차 믿을 수 없는 제안을 각국이 내놓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많은 나라들이 뒤로 물러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의장 교체 움직임과 대규모 무역 합의가 맞물리며 미국의 경제 정책 향방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심영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