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러시아 등과 외교적·경제적으로 연대한 국가들에 대해 추가 10% 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한국과 일본을 상대로도 최대 25% 수입관세 부과를 경고하는 공식 서한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월 7 일 동부시각 정오 직후,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한국과 일본 정부 앞으로 각각 작성된 서한을 공개했다. 해당 서한에는 양국에서 출하되거나, 제3국 물품이 환적 과정을 거쳐 수입된 것으로 간주되는 품목에 대해 최대 25%까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환적이란 화물이 운송 수단을 바꿔 다른 경로로 이어지는 과정을 뜻한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 초 ‘해방의 날’이라는 명목으로 각국에 높은 수입관세를 예고한 이후 이어졌다. 당시 대통령은 일시적으로 관세 부과를 보류하며 시장 불안을 완화시켰지만, 7월 9일로 예정된 협상 시한을 앞두고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7월 9일 시한에 대해 융통성을 가질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단언하며, “8월 1일부터 돈이 미국으로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재무장관 스콧 베선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상호주의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말했다”며 상황을 정리하려 했지만, 향후 발표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그는 향후 48시간 안에 ‘여러 건의 발표’를 예상한다고 전했다.
앞으로의 통상 정책 방향과 관련해 백악관 대변인 쿠시 데사이는 월스트리트저널에 “모든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내릴 것”이라고 밝히며, 협상 일정과 내용은 대통령의 판단에 따라 유동적일 수밖에 없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 게시글에서 “세계 각국과의 관세 관련 서한 및 협상이 8일 정오부터 전달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월가에서는 이번 관세 리스크가 과거만큼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경제분석기관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관세 불확실성만으로 미국 경제를 급격히 위축시킬 가능성은 낮다”며 “그렇다면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도 크게 꺾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연준 입장에선 이러한 불확실성이 금리정책 운용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연준 내부에서는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효과가 명확해지기 전까지 금리 인하에 나서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올해 안에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다”고 분석했다.
결국, 관세 정책의 향방은 트럼프 대통령의 입에 달려 있으며, 당분간 미국과 세계 시장은 다시금 그 여파에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김승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