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보수층 지지율 반등

123
사진-AP

“정책 효과보다 여론 반응 중시” 분석도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한때 하락세를 보였던 보수 유권자들 사이에서 최근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의 핵심 지지층인 보수층의 여론 변화는 향후 공화당의 정치적 향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목된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YouGov)와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가 공동으로 매달 실시한 여론조사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보수층 지지율은 올해 3월부터 5월까지 감소했으나, 이후 다시 상승세로 전환됐다.

올해 2월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보수층 순지지율(net approval)은 +80%를 기록했고, 3월에는 +85%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4월 들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정책을 발표하면서 시장 불안이 가중됐고, 이에 따라 지지율도 +71%로 급락했다. 5월에는 +67%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6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기조를 완화하고 시장이 안정을 찾으면서 지지율도 +68%로 반등했고, 7월에는 다시 +80% 수준을 회복했다. 이 시기 트럼프 대통령은 대규모 감세·지출 법안인 ‘빅 뷰티풀 빌(The One Big Beautiful Bill)’을 의회에서 통과시켰고, 중동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습도 승인했다.

보수층에서의 반등과 달리, 전체 유권자 대상 조사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부정 여론이 여전히 높다. 타이슨그룹(Tyson Group)이 6월 25~26일 1,027명의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45%, 반대는 51%로 나타났다. 또한 ‘빅 뷰티풀 빌’ 역시 전국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있었다.

영국 서리대학교의 미국정치 전문가 마크 섀너핸 교수는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실제 정책효과보다는 여론 반응과 지지층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눈에 띄는 선택지’를 선호한다”며, “그는 여론조사와 미디어의 상호작용을 잘 이해하는 ‘레이팅 대통령’”이라고 평가했다.

섀너핸 교수는 “이란 핵시설 공격은 전략적으로는 중동을 더 불안하게 만들 수 있지만, 언론 보도에선 트럼프를 ‘결단력 있는 대통령’으로 보이게 만들었다”며, “법안 통과 역시 실질적인 경제 혜택보다 정치권 엘리트에 맞서는 이미지 구축 측면에서 보수 유권자들에게 어필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이러한 단기 승리들이 지지율을 유지하게 만드는 요인”이라며, “트럼프가 미디어의 중심에 있는 한, 과거 대통령들이 겪었던 2기 지지율 하락을 피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앞으로도 뉴스 사이클에 따라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오는 2026년 11월 중간선거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정책들이 본격적인 평가를 받게 되며, 지지율 향방과 함께 공화당의 의회 권력 재편 여부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심영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