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롬비아대학교가 유대인 학생들을 보호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트럼프 행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향후 3년에 걸쳐 총 2억 달러를 연방정부에 지급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는 대학 측의 성명과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공식 발표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3월 중단하거나 동결했던 4억 달러 규모의 연방 보조금 일부를 반환하기로 했다.
콜롬비아대는 지난해 뉴욕 캠퍼스 내 이스라엘-가자 전쟁 관련 시위 속에 반유대주의를 제대로 제지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트럼프 행정부의 첫 제재 대상이 됐으며, 지난 3월에는 백악관의 요구사항을 일부 수용한 바 있다.
린다 맥마흔 교육부 장관은 “이번 합의는 미국이 대학들을 책임지게 만드는 데 있어 중대한 전환점”이라며, “콜롬비아대의 개혁은 엘리트 대학들이 미국 국민의 신뢰를 되찾고자 할 때 따라야 할 청사진”이라고 강조했다.
클레어 시프먼 콜롬비아대 총장 대행은 성명을 통해 “이번 합의는 연방 정부의 지속적인 감시와 제도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던 시기를 마무리짓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밝혔다.
콜롬비아대는 이 밖에도 다양성·형평성·포용(DEI) 정책을 폐지하고, 오직 ‘성적’ 기준에 따른 입학을 시행하며, 캠퍼스 내에서 모든 학생의 시민권을 보호하겠다는 약속도 트럼프 행정부와 교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트루스 소셜에서 “콜롬비아대는 황당한 DEI 정책을 끝내고, 오직 성적 기준으로 학생을 선발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수많은 고등교육기관들이 세금을 낭비하고 국민을 해치고 있다. 다음은 그들 차례”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한 달 후, 행정부는 콜롬비아대가 반유대주의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며 4억 달러 규모의 연방 자금을 동결했으며, 이는 학교의 연구 활동에 직접적인 타격을 줬다. 이에 시프먼 총장 대행은 지난 6월 “상황이 한계점에 이르렀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후 학교 측은 행정부가 요구한 다양한 조치들을 도입했다. 중동학과 조직 개편, 시위 진압 권한을 가진 ‘특수요원’ 배치, 캠퍼스 내 체포권 허용, 학생 그룹에 대한 감독 강화, 시위 시 얼굴 가리기 금지, 캠퍼스 신분증 확인 의무화 등이 그것이다.
학교 측은 합의금 지급과 함께, 대부분의 중단됐던 연구 보조금이 복구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합의 이행을 감독할 외부 감시관을 양측이 공동 선정해 파견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는 잘못에 대한 인정은 아니라는 것이 콜롬비아대의 입장이다. 시프먼 총장은 “이번 합의는 우리 학교의 핵심 가치를 지키면서도 연방 정부와의 연구 파트너십을 정상화하기 위한 결정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3월, 대학이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에 순응한 것을 두고 ‘학교의 독립성을 내줬다’는 학내외 비판도 거세게 제기됐다.
하버드는 정반대의 길을 택하고 있다. 정부가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동결하고 유학생 등록 권한까지 박탈하려 하자, 하버드는 연방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양측의 공방은 21일부터 정식 재판에 돌입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다른 대학들도 콜롬비아대의 전례를 따르기를 기대하고 있다. 교육부의 맥마흔 장관은 “이 개혁은 향후 수년간 캠퍼스 문화를 바꿀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심영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