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조작 통해 전 세계 반체제 인사 억압
중국 공산당이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 조작을 활용해 해외 반체제 인사들까지 감시·탄압하고 있다는 경고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산당이 앱과 플랫폼을 통해 수집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초국가적 탄압(transnational repression)’을 실행 중이며, 이 같은 디지털 독재가 제3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연방수사국(FBI)에 따르면, 초국가적 탄압이란 “외국 정부가 자국 밖의 망명자나 이주민 커뮤니티를 위협, 침묵, 강요, 괴롭히거나 해를 가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중국 허난성 정저우 출신인 첸언더(Chen Ende)는 알리바바의 물류 자회사 차이냐오(Cainiao)와 중국 정부 디지털 플랫폼 기업 톈취에(Tianque Technology) 등에서 기술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인물이다.
그는 에포크타임스에 “회사 내부 시스템은 사용자의 구매 기록, 물품 정보, 수취인 성명, 전화번호, 주소 등 모든 정보를 접근·수집할 수 있었고, 이를 중국 내 택배사에 판매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알리바바 내부에 중국 공산당 정치 분과가 존재하며, 정부 요청이 있을 경우 ‘즉시 보고되는 시스템’이 마련돼 있다고 증언했다. 정부가 누군가를 타깃으로 삼으면, 회사 누구도 거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2019년 말, 첸은 톈취에에 합류했고, 이 회사는 저장성의 인구, 주택, 사회 활동을 실시간 감시하는 디지털 통제 수단을 제공해 왔다. 특히 이 시스템은 중국 공산당에 반대하는 인사나 비판적 시민을 추적하는 데 활용된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알리바바의 헬스코드(건강QR코드) 시스템 개발에도 참여했다. 당시 실제 감염자 수와 보고된 신규 확진자 수가 일치하지 않는 통계 조작 사례를 다수 목격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매일 새로운 확진자가 있었지만, 시스템상 ‘0’으로 표시됐다”고 했다.
대만 남화대 국제관계학 교수 쑨궈샹(Sun Kuo-hsiang)은 중국 공산당의 데이터 조작이 중국 내부 사회 갈등을 심화시키는 동시에 세계 경제에까지 잘못된 신호를 준다고 경고했다.
그는 “중국은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서, 다른 나라의 정부와 기업, 기관들이 중국의 공식 통계에 의존하는데, 이러한 데이터가 의도적으로 조작될 경우 글로벌 투자 판단, 공급망 계획, 통화정책 등에 심각한 오판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첸은 “2016년부터 공산당이 디지털 위안화 및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을 추진해왔다고 밝혔다. 2025년 기준, 중국 전역 17개 성에서 도입된 이 시스템은 위챗(WeChat), 타오바오(Taobao), 샤오홍슈(Xiaohongshu), 철도 예약앱 등 67개 주요 플랫폼과 연동돼 있다.
그는 “이제 중국 공산당이 당신을 블랙리스트에 올리면, 경찰을 보낼 필요도 없다. 마우스 클릭 한 번이면 디지털 신분을 차단해 생존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일을 할 수도, 쇼핑도, 교통 이용도, 병원 진료도 못 받는다. 살아 있지만, 정보 사회에서는 ‘죽은 것’과 같다”고 표현했다.
쑨 교수는 “위챗, 알리페이 등은 모두 실명제 기반이며, 중국 보안법에 따라 모든 데이터가 공산당에 송신된다”며, “해외 거주 중국인들이 여전히 해당 앱을 사용할 경우 위치, 대화 내용, 연락망까지 추적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 공산당은 데이터와 협박을 결합해 해외 반체제 인사들을 억압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공산당은 개인의 친인척, 재산, 사회관계를 데이터로 파악한 후 이를 협박 수단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워싱턴 인권단체 ‘프리덤 하우스’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은 지난 10년간 세계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초국가적 탄압을 실행한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2022년에는 뉴욕 등 서방 주요 도시에 비밀 경찰서를 설립해 반체제 인사, 인권운동가, 종교인 등을 감시·탄압한 사례가 폭로되기도 했다.
<심영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