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업체 “향후 90일 내 자재 인수 시작”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 2기를 맞아 국경보안 강화를 다시 본격화하면서, 과거 경매에 부쳐졌던 국경장벽 자재가 다시 연방정부로 돌아갈 전망이다.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 매각됐던 수백만 달러 규모의 자재들이 정부에 반환된다.
10일 폭스뉴스에 따르면, 미국 정부 및 공공기관의 미사용 자산을 전문적으로 경매하는 가브플래닛(GovPlanet)은 트럼프 행정부와 협의를 통해 국경장벽 자재를 연방정부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가브플래닛 측은 “국경장벽 건설을 위해 계약된 제3의 시공업체가 향후 90일 내 자재를 인수할 예정”이라며 “이미 미국 납세자들이 투자한 자산을 원가 기준으로 반환함으로써 예산 낭비를 줄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2기 임기에서 국경보안 정책을 다시 강화하면서 추진되고 있는 정책의 일환이다. 가브플래닛은 트럼프 대통령 직속 ‘국경 차르(Border Czar)’ 사무실과 협력해 자재 반환을 진행 중이다.
앞서 2021년, 바이든 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국경장벽 건설을 전면 중단했다. 이로 인해 약 2억6천만~3억5천만 달러 상당의 자재가 뉴멕시코·애리조나 사막에 방치됐고, 일부는 경매로 처분되며 논란이 일었다.
당시 공화당 의원들은 “하루 13만 달러 이상이 보관 및 경비에 낭비되고 있다”며 비판했고, 국방수권법(NDAA) 2024 회계연도 조항에는 자재의 매각 또는 이전 계획 수립이 의무화되기도 했다.
이후 텍사스주를 포함한 일부 주정부는 약 1,200만 달러어치 자재를 매입했으며, 수만 개의 철제 패널과 구조 자재가 가브플래닛 경매에 올라왔다. 일부는 단돈 1달러에 낙찰되기도 해 “납세자의 혈세가 헐값에 팔렸다”는 비판이 커졌다.
지난해 12월 텍사스 연방 법원은 경매에 대해 일시적 중단 명령을 내렸고, 경매업체 측은 이후 관련 자재를 목록에서 삭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국경 장벽 재건설을 주요 안보 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번 자재 환수 조치는 정책 기조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국경수비대 노조 관계자는 “해당 자재는 여전히 재사용 가능하며, 이미 기반 시설도 일부 갖추어져 있어 즉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연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