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정체성 교육 강화… 역사·문화 교육 포함
해외 청년 유치·정착 지원 등 신규 사업도 본격화
재외동포청이 2026년도 예산안을 1,092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 이는 올해 예산 1,071억 원보다 약 2%(21억 원) 증가한 것으로, 정부의 재정 효율화 기조 속에서도 핵심 사업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는 평가다. 재외동포청은 지난 4일 발표를 통해 “내년도 예산은 차세대 동포 육성과 한민족 정체성 강화, 디지털 기반 행정 역량 확대에 중점을 두고 편성됐다”고 밝혔다.
특히 “내년도 예산안에서 전 세계 한글학교 지원 예산을 올해보다 9억 원 늘어난 195억 원으로 증액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글뿐 아니라 한국 역사와 문화를 배우려는 차세대 재외동포들의 교육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조치다.
현재 전 세계 각국에서는 1,500여 개의 한글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이들 한글학교는 재외동포 자녀들이 모국어를 배우고 한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재외동포청은 이번 예산 증액을 통해 ▲교재 및 교육 기자재 지원, ▲현지 교사 연수 프로그램 확대, ▲학교 운영비 보조,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등을 보다 강화할 방침이다.
최근에는 혼혈 동포 가정, 입양 동포, 한류에 관심 있는 현지인 자녀들까지 한글학교에 등록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 보다 다양하고 포용적인 커리큘럼 개발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재외동포청은 다문화적 요소를 반영한 교육자료 개발 및 교사 역량 강화에도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외에 사이버 보안 대응을 위한 ‘보안관제센터’ 신설에도 27억 원이 신규로 편성됐다. 재외동포청은 “최근 증가하는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디지털 행정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년부터 처음 추진되는 항목으로는 ‘해외 동포 청년 유치·정착 지원 사업’이 있다. 이 사업에는 총 31억 원이 투입된다.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 청년 중 국내 학업이나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원)생과 취업준비생을 선발해 장학금 및 취업 교육·훈련비 등을 지원한다.
또 하나의 변화는 사할린 동포와 해외 입양동포 지원 예산이 보건복지부에서 재외동포청으로 이관된 것이다. 내년부터 총 78억 원 규모의 예산이 이관되며, 재외동포청이 해당 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번 예산안은 향후 국회의 심사와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윤연주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 847.290.8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