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팔지 말고 4.7% 써라?… 새 은퇴 생존 전략
오랫동안 은퇴 재정계획의 대표 공식으로 자리 잡았던 ‘4% 룰’이 바뀌었다. 1990년대 이 지침을 처음 만든 창시자 빌 벤겐이 최근 이를 4.7%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물가 상승과 금융환경 변화가 반영된 결정이다.
기존의 4% 룰은 은퇴 첫 해에 자산의 4%를 인출하고, 이후 물가 상승률에 따라 금액을 조정하는 방식이었다. 이 공식은 60% 주식, 40% 채권의 포트폴리오와 30년 은퇴 기간을 전제로 설계됐다.
하지만 최근 미국의 재산세와 보험료, 유틸리티 비용이 빠르게 오르면서 과거의 기준은 현실성이 낮아졌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벤겐은 은퇴 첫 해 인출률을 4.7%로 상향 조정하고, 이후 매년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는 방식이 현재 경제환경에 더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벤겐은 주식 55%, 채권 40%, 현금 5%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며, 이 구조에 따라 4.7%는 ‘보편적 인출률’로 활용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경우에 따라 최대 7%까지도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 변화는 특히 주택을 주요 자산으로 보유한 은퇴자들에게 의미가 크다. 유지비용 상승으로 집을 보유하는 데 부담이 커진 가운데, 4.7% 룰은 자산 인출 여력을 늘려 불필요한 매각이나 대출 없이도 거주를 유지할 수 있는 재정적 여유를 제공한다.
다만 모든 은퇴자에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미국 가구의 중간 은퇴자산이 낮은 현실에서 4.7%를 적용하더라도 실질 인출액은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의료비, 기대수명 증가, 시장 변동성 등 여전히 변수는 많다.
벤겐은 이번 변경이 절대 기준이 아니라 유연한 설계를 위한 참고 지침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퇴 이후의 삶은 단순히 자산을 오래 유지하는 것을 넘어,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어디서 생활할 것인지까지 포괄하는 문제다. 4.7% 룰은 그 방향을 재설정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윤연주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 847.290.8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