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장기기증 시스템 대대적 개혁”

5
fox news

마이애미 장기조달기구 기관, 사상 첫 ‘중도 자격 박탈’

연방 보건복지부(HHS)가 미국 내 장기 기증 및 이식 시스템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을 발표했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은 18일 기자회견을 통해 “수십 년간 방치된 환자 안전 문제가 장기기증 시스템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키워왔다”며 “이번 조치는 역사적이고 단호한 개혁의 시작”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 아래 추진된 것으로, 보건복지부는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장기조달기관(Organ Procurement Organization, OPO)의 자격을 중간 평가 시점 이전에 박탈하는 조치를 취했다. 대상은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 본부를 둔 ‘라이프 얼라이언스 장기회수기구’로, 해당 기관은 장기 회수 누락과 환자 안전 문제 등으로 오랫동안 문제 제기를 받아왔다.

케네디 장관은 “직원 부족 문제만으로도 매주 최대 8건의 장기 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는 매일 한 명의 생명을 잃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자신의 조카가 뇌성마비를 앓다 20세에 세상을 떠났고, 그의 장기가 여러 생명을 살렸다는 개인적 경험을 공유하며, 장기 기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자회견에 함께한 CMS(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 메흐메트 오즈 국장은 “현재 미국 내 장기를 기다리는 환자가 10만 명에 이른다”며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그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고, 또 누군가는 기다리다 생을 마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FDA 식품의약국의 마크 매커리 위원은 “너무 오랫동안 시스템 남용, 비효율, 이해충돌이 이어져 왔다”며 “이제는 정부가 직접 나서서 책임을 묻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에는 생존 기증자들을 위한 2,500만 달러의 예산이 포함돼 있으며, 이는 기증자가 부담하는 비의료적 비용(임금 손실, 여행, 육아 등)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또한 연방 정부는 장기조달기관의 부실 운영과 안전 문제에 대해 신고할 수 있는 ‘직접 보고 채널’을 개설하고, 철저한 감독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제재를 받은 마이애미의 라이프 얼라이언스 측은 “보건복지부의 결정을 인지하고 있으며, 원활한 이행을 위해 협조하겠다”며 “이번 조치를 항소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또 “기증자들의 존엄과 유가족의 지지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생명을 살리는 임무에 계속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서는 미래 장기이식 기술로 주목받는 이종이식(동물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는 기술)과 3D 프린팅을 활용한 인공 장기 개발에 대한 전망도 함께 언급됐다.

<윤연주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 847.290.8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