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 저항성 높아지면 우울증 위험도 증가”

47
한국우울증검사(KDS)_연합뉴스TV 제공

강북삼성병원 연구…”정신·대사건강 긴밀히 연결”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몸의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우울증 위험도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일 강북삼성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전상원·조성준 교수 연구팀은 인슐린 저항성과 우울증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 학술지 ‘랜싯 지역보건-서태평양’에 게재했다.

인슐린 저항성은 체내 세포가 인슐린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로,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혈당 조절이 어려워져 당뇨병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연구팀은 2011∼2022년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에서 2차례 이상 검진을 받은 성인 23만3천여 명을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를 기준으로 4개 그룹으로 나눴다.

분석 결과 HOMA-IR 값이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우울증 발생 위험이 약 15% 높게 나타났다.

특히 40세 미만의 젊은 성인이나 혈당이 정상 범위인 사람, 과체중, 근육량 대비 지방량이 많은 사람에게서 인슐린 저항성과 우울증 위험의 상관관계가 더 두드러졌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오대종 교수는 “인슐린 저항성이 우울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것을 세계 최대 규모의 코호트 연구를 통해 규명했다”고 의미를 부여하며 “정신 건강과 대사 건강이 긴밀히 연결돼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전상원 교수는 “인슐린 저항성 지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우울증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