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미 존스 등 소유 ‘인스파이어 브랜즈’가 인수
던킨도너츠와 배스킨라빈스 체인을 소유한 던킨 브랜즈 그룹이 113억달러에 패스트푸드 체인 아비스 등을 운영하는 인스파이어 브랜즈에 팔린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인스파이어 브랜즈와 던킨 브랜즈 그룹은 연말에 이런 조건의 양수도 계약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부채를 제외한 거래 규모는 88억달러다. 던킨 브랜즈를 인수하면 인스파이어 브랜즈는 지점이 2배 이상으로 늘어 맥도널드에 이어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내수 기준) 레스토랑 체인이 된다. 지점 수는 3만2천 곳으로 늘어나고 종업원은 60만명에 이른다.
던킨도너츠의 판매점 가운데 42%인 2만1,100곳은 미국 밖에 있기 때문에 인스파이어 브랜즈는 해외로도 영업망을 확대하게 된다. 이번 계약은 북미지역에서 최근 10년내 이뤄진 레스토랑 체인 양수도 계약 중 2번째로 큰 규모라고 딜로직은 집계했다. 지난 2014년 버거킹 체인을 소유한 레스토랑 브랜즈 인터내셔널이 캐나다 커피와 도넛 업체인 팀 호튼스를 133억달러에 인수한 데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인스파이어 브랜즈에 따르면 두 회사가 인수 협의를 시작한 것은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전이다.폴 브라운 인스파이어 브랜즈 최고책임자는 “던킨도너츠와 배스킨라빈스는 70년이 넘는 전통의 해당 분야 선두주자로 전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레스토랑 브랜드”라면서 “이들이 인스파이어 브랜즈에 추가되면서 고객 응대 경험 등이 보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팬데믹으로 협상이 복잡해졌다”면서 “부분적으로는 팬데믹으로 던킨도너츠의 핵심인 아침 식사 판매가 급감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팬데믹으로 일상적 출퇴근이나 등하교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아침 식사 판매에 초점을 둔 레스토랑 체인은 타격이 컸다.
팬데믹 와중에는 드라이브 스루가 있는 레스토랑 체인이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익을 봤다. 인스파이어 브랜즈는 사모 투자사인 로크 캐피털이 소유한 기업으로, 아비스와 함께 ‘버펄로 와일드 윙즈’, ‘소닉 드라이브-인’, ‘지미 존스’ 등 여러 외식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