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러시아 경제제재에 반대” 이견 드러내
푸틴, 서방 압력에 수출입 금지조치 ‘맞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8일(현지시간) 화상 정상회의를 열어 우크라이나 사태를 논의했다. 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우려하며 평화롭게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에서 견해가 일치했지만, 서방의 러시아 제재에는 시 주석이 반대하며 이견을 드러냈다. 중국 관영 중앙(CC)TV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모두 우크라이나 정세에 우려를 표했다.
마크롱 대통령과 숄츠 총리는 현재 우크라이나 상황에 대한 견해와 입장을 소개하면서 “유럽이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고 말했다.
두 정상은 이어 “프랑스와 독일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을 지지한다”면서 “평화를 위한 기회를 주는 것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도 “우리는 현재 우크라이나 사태가 매우 우려스럽다”면서 “중국은 유럽 대륙에 다시 화염이 피워 오르는 것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경제재제에 시 주석은 반대했다. 그는 “중국은 각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이 존중돼야 하고, 유엔 헌장의 취지와 원칙이 모두 준수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각국의 합리적 안보 우려도 중시돼야 한다”고 기존 친러시아적 중립 입장을 반복했다.
아울러 “위기의 평화적 해결에 도움이 되는 노력은 모두 지지를 받아야 한다”며 “현재 가장 시급한 일은 긴장이 고조되지 않게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자국 특정 물품 및 원자재 수입·수출 금지 명령을 발표하면서 서방의 제재에 대한 ‘맞불’ 성격의 보복 조치에 나섰다.
8일 러시아 타스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번 해 원자재와 특정 물품의 수입·수출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도록 하는 ‘러시아의 안보 보장을 위한 특별대외경제조치 칙령’을 내렸다. 구체적인 수입·수출 제한·금지 적용 물품 및 국가 등 목록은 향후 2주 이내에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은 이 조치의 적용 기간을 오는 12월 31일까지로 정했다. 그는 이틀 내 이 조치가 적용될 외국 국가 목록을 만들도록 명령했다. 타스통신은 다만 시민들이 개인적인 필요에 따라 운송하는 원자재나 상품에는 제약을 가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의 조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제재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내수 시장에서 특정 상품이나 원자재 부족 현상이 벌어지는 것을 막고, 동시에 특정 국가 제품이나 원료 수입을 차단해 보복하는 효과를 노린 것이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달 21일 우크라이나 동부 루한스크와 도네츠크의 독립을 일방적으로 인정하면서 서방의 제재 경고에도 불구하고 24일 침공을 감행했다.
이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의 핵심 수입원인 원유를 상대로 금수 조치를 발표했다. 유럽 국가 중에서는 영국이 올해 말까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