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정부, 이라크·러시아 등 미 대사관 수영장 개보수 수백만 달러 지출

60
사진_ fox news

에른스트 상원의원, “워싱턴의 사치성 수영장 파티, 이제 끝내야” 맹비난
트럼프 행정부 “세금 낭비 전면 차단할 것”

바이든 시절 국무부가 이라크, 수단, 아이티 등 분쟁국가 주재 미 대사관 및 공관의 수영장 개보수를 위해 미 연방 납세자들의 세금 120만 달러 이상을 승인한 사실이 드러났다.

조니 에른스트 연방 상원의원은 폭스뉴스 디지털에 “바이든 국무부는 국민 세금으로 호화 여름 수영장 파티를 벌였다”며 “워싱턴 관료들은 수백만 달러 낭비를 물 한 방울 정도로 여기겠지만, 나는 납세자들이 매번 깊은 물에 빠지는 꼴을 더는 지켜볼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에른스트 의원실이 뉴욕포스트에 최초로 제공한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 하의 국무부는 아이티에 2곳, 이라크에 5곳, 수단에 3곳, 러시아·짐바브웨·가나에 각각 1곳씩, 총 13개 해외 공관의 수영장 개보수에 세금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인 2022년 6월 3일부터 8월 15일 사이, 모스크바 주재 미 대사관 수영장 보수에 4만 1,259달러가 투입됐으며, 바그다드 주재 대사관 수영장의 실내 제습 시스템 교체에는 44만 4,000달러라는 막대한 계약이 체결됐다. 또 이라크 에르빌 주재 영사관 수영장 기계 설비 보수에도 1만 달러 이상이 사용됐다.

수단의 경우, 국무부는 2021년 주재 공관 수영장 데크 설치에 2만 4,000달러를 투입했다. 수단은 현재 국무부가 ‘무장 충돌, 치안 불안, 범죄, 테러, 납치’ 등을 이유로 여행 금지 국가로 지정한 상태이며, 수도 하르툼 주재 미 대사관은 2023년부터 운영이 전면 중단됐다.

이번 보고서에는 아직 지출이 완료되지 않은 계약도 포함돼 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대사관 수영장 보수를 위한 17만 3,000달러 상당의 계약도 그중 하나다.

이처럼 해외 대사관 관련 지출이 과도하다는 비판은 이전 오바마 행정부 당시에도 있었다. 당시 국무부는 공관 미술품 구매에 막대한 세금을 투입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미국 국무부 및 재외 공관 운영비는 주로 연방 의회의 세출 승인에 따라 책정되며, 이번 보고서는 최근 정부효율성부의 감시 활동의 일환으로 공개됐다. 해당 부서는 최근 몇 달 동안 연방 기관들의 부패, 예산 낭비, 관리 부실 등을 조사하며 수십억 달러의 절감을 달성했다고 밝힌 바 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지난 7월 초, 미국국제개발처(USAID)가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폐지 조치를 내렸으며, “정부가 승인한 비효율의 시대는 끝났다”고 밝혔다.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는 미국의 국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대외 원조만 허용될 것이며, 7월 1일부로 USAID는 외국 원조를 시행하지 않게 된다”고 강조했다.

루비오 장관은 이어 “앞으로 대외 원조는 국무부 내에서 보다 책임 있고 전략적이며 효율적으로 집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심영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