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년 만에 파업 돌입한 보잉 방산 공장

73
보잉. 한국일보 자료사진

트럼프 행정부 대표 수혜기업의 내홍

미국 방위산업의 핵심 축을 담당하는 보잉(Boeing) 방산 부문이 29년 만에 전면 파업에 돌입했다.

블룸버그·로이터 등 주요 언론은 4일 보잉의 일리노이주와 미주리주 등 3개 방산 공장에서 약 3,200명의 노동자가 자정부터 생산을 전면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파업은 임금 협상 결렬에 따른 것으로, 보잉 세인트루이스 공장이 파업에 들어가는 것은 1996년 이후 29년 만이다.

파업 대상 공장에서는 F-15 전투기, T-7 훈련기, 미 해군용 공중급유 드론 MQ-25, 미사일 및 각종 군수품이 생산된다. 해당 시설은 최근 미 공군의 신형 전투기 F-47A 생산을 위해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기도 하다.

노조 측은 임금 인상 폭과 근무 조건 등이 현실을 반영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국제기계항공노동자연맹(IAM) 지부 대표인 톰 뵐링은 “조합원들의 기술력과 국방에 기여하는 중대한 역할을 고려하면 더 나은 계약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보잉 측은 이와 관련해, 4년에 걸친 20% 임금 인상안을 포함해 평균 40% 임금 인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제안을 했으나 노조가 이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또한 탄력근무제 도입 계획을 철회하고, 기존 방식대로 시간외수당을 유지하는 한편, 최고선임 노조원에게는 추가 수당을 지급하는 수정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노조 투표에서 부결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보잉 전체 매출의 약 30%를 차지하는 방산·우주 부문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켈리 오트버그 보잉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세인트루이스 공장의 노조원 수는 지난해 시애틀 공장 파업 때보다 10분의 1 수준”이라며 “이번 파업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미국에 본사를 둔 보잉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이후 대표적인 수혜 기업으로 꼽혀왔다. 한때 주력 기종인 737시리즈의 연이은 사고로 매출 부진에 시달렸지만,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협상 과정에서 ‘보잉 주문’을 지렛대로 활용하면서 수출 물량이 증가했고 이를 계기로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윤연주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