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ㆍ25 한국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맺어진 사랑이 타코마까지 이어진 한인 할머니와 백인 할아버지의 행복한 러브스토리가 화제가 되고 있다.
한국전쟁중 한국 군 간호사로 일하던 한국 여성과 파병 온 미국 군인이 만나 가정을 이루고, 훗날 타코마에 정착해 평생을 함께 한 이들의 이야기는 이들의 손녀에 의해 전해졌다.
지난 1일 글로벌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Reddit)’ 한국 게시판에는 손녀가 올린 흑백사진 10장이 공유됐다.
제목은 ‘1952~1953년경 조부모님과 아버지’였다. 오래된 앨범 속 흑백 사진은 그 시절의 한국과 두 사람의 애틋한 사랑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다.
사진 속 부부는 서로를 바라보며 행복한 모습으로 활짝 웃고 있었다. 상의를 벗은 채 면도 크림을 바른 남편의 모습을 재미있다는 듯 거울을 들어주며 웃는 아내, 아기를 안고 밝게 미소 짓는 모습, 한복을 입은 아내와 군복을 입은 남편이 함께 아들을 가운데 두고 서 있는 장면…. 군용 트럭 운전대를 잡거나 장총을 들어 사격 자세를 취한 아내의 모습은 당시 여성의 강인함까지 보여준다.
글과 사진을 올린 손녀는 “할아버지는 한국전쟁이 얼마나 끔찍했는지 늘 말씀해 주셨다”며 “하지만 사진 속에서 할머니는 그런 암울한 시절에도 할아버지에게 한 줄기 빛 같은 존재였다”고 회상했다.
두 사람의 인연은 전쟁에서 시작됐다. 북한 출신이었던 할머니는 폭격으로 가족을 잃고 서울로 내려와 군 간호사로 일하다 미군이었던 할아버지를 만났다. 두 사람은 전쟁 와중에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서 아들을 낳았고, 이후 독일 등지에서 생활하다 1960년대 한국으로 돌아왔다. 시간이 흐른 뒤 부부는 타코마에 정착해 새로운 삶을 시작했고, 함께 모험하는 것을 좋아했으며 여행과 캠핑을 즐겼다고 한다. 물론 타코마에서 손주들을 돌보며 평생을 함께 했다.
손녀는 “할머니는 저희에게 늘 사랑으로 다가오셨다. 미역국을 끓여주시고, 포도 껍질을 일일이 까주시던 모습이 기억난다”며 “할아버지는 할머니의 부탁을 늘 들어주셨고, 두 분은 끝까지 서로를 사랑했다”고 전했다.
동시에 사진 속 한국인 여성의 모습이 어린 것을 두고 미성년자가 아니냐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손녀는 “할머니의 여권에 따르면 그녀는 1932년에 태어났다. 할아버지를 만났을 때 만 스무 살이었다. 당시 영양실조 때문에 어려 보였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할머니가 2004년 72세 나이로 노환으로 돌아가셨기 때문에 그 나이가 맞을 거라고 생각한다”면서 “할머니를 만났을 당시 할아버지는 20대 중반이었고, 아이가 태어났을 땐 25살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녀는 “할아버지 역시 할머니와 같은 해인 2004년 돌아가셨다.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몇 달 뒤 할아버지는 심장마비로 돌아가셨다”고 부연했다.
그들의 삶은 전쟁의 잔혹함 속에서도 끝내 사랑을 지켜낸 아름다운 이야기로, 타코마 한인 사회와 온라인을 통해 널리 전해지고 있다. 이 게시물에는 1,000개 이상의 댓글이 달리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누리꾼들은 “박물관에 전시할 가치가 있는 사진들이다”, “내가 본 커플 중 가장 행복해 보인다”, “문화와 시대를 뛰어넘은 사랑이 감동적이다”라는 반응을 보이며 이들의 러브스토리에 큰 공감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