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취업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미국에선 대졸자들이 사상 최악의 취업난에 내몰릴 전망이다.
16일 의회전문매체 더힐은 몇 달 전까지만 해도 장밋빛 전망이 나오던 미국내 취업 시장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로 역사상 가장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고 분석했다. 국립교육통계센터(NCES)가 올해 대학 졸업 예정자를 약 400만명으로 추정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여파로 미국에선 연일 폐업이 속출하고 실업률은 치솟는 실정이다.
팬데믹(감염병의 대유행) 이전인 지난 2월까지만 해도 미국 취업 상황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약 10년간 꾸준히 좋아지고 있었다. 연방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2월에만 약 27만3천개의 일자리가 생겼고 실업률은 기록적으로 낮았다. 하지만 코로나19발 봉쇄 조처로 상황은 순식간에 바뀌었다. 노동부는 지난 3~9일 1주일간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98만1천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가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일자리가 줄었다는 의미다.
취업준비생들은 얼어붙은 취업 시장의 여파를 벌써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 전문사이트 몬스터닷컴과 시장조사업체 웨이크필드리서치가 최근 대학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5%는 자신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스스로도 아는 일자리에 지원했다고 답했다.
더 낮은 급여를 받아들이겠다고 답한 비율도 52%에 달했다. 다만 취업 전문가들은 지금의 취업난은 일시적이니 구직자들은 침착하고 낙관적인 자세를 보여도 된다고 독려했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