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과학자 2명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

740
2020 노벨화학상을 공동수상한 미국의 제니퍼 다우드나(좌)과 프랑스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유전병 치료 실현 가능성

올해의 노벨화학상은 최신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를 주도적으로 연구한 프랑스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51)와 미국의 제니퍼 A. 다우드나(56)에게 돌아갔다. 두 과학자는 모두 여성이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7일 프랑스 태생인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병리학 교실 4교수와 다우드나 미국 UC버클리 교수를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이로써 노벨 화학상을 받은 여성 과학자는 마리 퀴리(1911)와 딸 이렌 졸리오퀴리(1935), 도러시 크로풋 호지킨(1964), 아다 요나트(2009), 프랜시스 H. 아널드(2018)에 이어 7명으로 늘어났다.

노벨위원회는 유전자 가위를 통해 동식물과 미생물의 DNA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게 됐다이 기술은 생명과학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쳤고 새로운 암 치료에 기여하고 있으며 유전병 치료의 꿈을 실현할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글로벌 정보 서비스 기업 클래리베이트애널리틱스가 논문이 많이 인용되는 0.01%의 과학자를 중심으로 노벨상 후보로 점쳤던 24명 중 1명으로 꼽혔던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는 수상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노벨상은 논문이 많이 인용되는 것뿐 아니라 국제 R&D네트워크라든지 연구 독창성, 인류와 사회에 미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본다는 점에서 논문 피인용 지수만 따지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고광본 선임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