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 주재원 비자 거부율 높다

449

이민국 L-1B 심사 깐깐, 신청자 10명 중 3명 꼴
트럼프 시절 34.4% 최고

외국 기업의 전문직 직원들에게 발급되는 주재원(L-1B) 비자에 대한 연방 이민서비스국(USCIS)의 심사가 너무 까다로워 신청 거부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고 포브스지가 16일 보도했다.

미국정책전국재단(NFAP)이 USCIS의 자료를 토대로 내놓은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 7년 간 이민 당국의 L-1B 주재원 비자 거부율이 평균 28.2%에 달하고 있다. 신청자 10명 중 3명 꼴로 발급이 거부되고 있는 셈이다. 이는 전문직 취업비자(H-1B)의 거부율이 신규 신청의 경우 4%, 연장 신청은 2%에 불과한 것과 비교할 때 지나치게 높은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포브스지는 전했다.

주재원 비자는 지사장 등 간부 직원에게 적용되는 L-1A와 전문 지식 또는 특수 기술을 보유한 직원에게 발급되는 L-1B로 나뉜다.

포브스에 따르면 오바마 행정부 시절인 지난 2015 회겨연도 당시 L-1B 비자 거부율은 24.9%였다가 2016 회계연도에 24.9%로 떨어졌다. 이후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 L-1B 거부율이 더 치솟아 2017 회계연도에 26.9%, 2018 회계연도 28%에 이어 2019 회계연도에는 34.4%까지 올라가 정점을 찍었고 2020 회계연도에는 33%를 기록했다.

그러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2021 회계연도 L-1B 비자 거부율은 다시 26.2%로 다소 낮아졌다. 2021 회계연도의 L-1B 비자 거부율을 분기별로 보면 1분기에 32.7%, 2분기에 33.3%였던 것이 3분기에는 21.3%, 그리고 4분기에는 20.7%까지 떨어졌다.

이처럼 L-1B 비자 거부율이 높은 것에 대해 이민 변호사들과 기업들은 납득하지 못하겠다는 반응이다. 고엘&앤더슨 로펌의 파트너 변호사 빅 고엘은 “주재원 비자의 경우 대부분의 기업들이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대부분 자격을 갖춘 직원들만을 신청하는데, 다른 취업 관련 비자들에 비해 L-1B 비자의 거부율이 유독 높다는 것은 이상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노아 클룩 변호사는 “연방 이민국은 L-1B 비자에 대해 오랫동안 엄격한 심사를 해왔다”며 “해외 영사관에서 L-1B 심사를 하는 국무부의 승인율과 USCIS의 승인율 차이가 너무 크다”며 “이는 L-1B 비자 소지자들이 미국 내에서 연장 신청을 할 때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USCIS는 “각각의 L-1B 비자 신청 서류들에 대해 관련 법 규정과 정해진 절차에 따라 심사를 하고 있으며, 모든 이민 신청 서류는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원론적 답변을 내놓았다고 포브스지는 전했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