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 이탈에 보수진영 총결집···세대·성별 엇갈려

791

지역별 몰표 예전보다 완화
사전투표 논란 속 보수 단합
이 40∼50대, 윤 60대 이상 ‘우세’

9일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심은 국민의힘 윤석열 당선인의 손을 들어줬다.

출구조사 발표부터 개표 막판까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피 말리는 접전을 펼친 아슬아슬한 ‘신승’이었다. 헌정사상 최소 득표 차 기록까지 세우게 됐다.

‘비호감 대선’이란 오명 속에 민심이 한쪽으로 확 쏠리지 않고 보수·진보 진영이 각각 총결집한 결과로 보인다.

큰 틀의 지역 구도가 유지된 가운데 세대별, 성별 표심은 뚜렷하게 갈렸다.

윤 후보의 당선이 확정된 10일 오전 3시 50분 97.8% 개표 결과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48.6%의 득표율을 기록, 47.8%를 얻은 이 후보를 0.8%포인트 격차로 앞섰다.

대선 직전까지 정권교체 여론이 줄곧 50% 안팎 이상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윤 당선인이 정권교체 민심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소야대 상황에서 국정을 이끌어야 하는 윤 당선인으로선 압도적 지지를 얻지는 못했다는 점에서 민심의 준엄함을 새기며 새 정부를 여는 과제를 안게 됐다. 이 후보 지지층이 결과에 쉽사리 승복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박빙 승부가 펼쳐진 것은 무엇보다 각 진영이 ‘영끌’(영혼까지 끌어오는) 지지층 결집에 나섰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사전투표 직전 야권 후보 단일화로 인한 위기감에 여권 지지층이 총결집했고, 코로나19 확진자 폭증과 사전투표 논란 속에 보수 지지층도 심판론을 기치로 결집한 것으로 보인다.

최대 변수로 꼽혔던 야권 후보 단일화는 두 후보의 격차를 벌려놓을 만큼의 뒷심은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단일화 전 5∼8%의 지지율을 유지했지만, 윤 당선인의 득표율을 보면 안 대표 지지율이 윤 당선인에게 고스란히 옮겨가지 못하고 두 후보에게 분산됐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KBS·MBC·SBS 방송 3사가 투표 종료와 함께 공개한 출구조사 결과를 보면 세대별, 성별 표심은 확연히 갈렸다. 이 후보는 40대(60.5%)와 50대(52.4%)에서 우위를 보였고, 윤 당선인은 60대 이상(67.1%)에서 크게 앞섰다.

20대(윤 당선인 45.5%, 이 후보 47.8%)와 30대(윤 당선인 48.1%, 이 후보 46.3%)에서는 두 사람이 접전을 벌였다. 전체적으로 남성은 이 후보 46.5%, 윤 당선인 50.1%, 여성은 이 후보 49.1%, 윤 당선인 46.6%를 각각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쏠림 현상도 되풀이됐다.

대구(72.7%), 경북(72.1%), 부산(57.8%) 등 보수 지지세가 강한 영남권에서는 윤 당선인이 우위를 점했고, 이 후보는 전남(83.7%), 광주(83.3%), 전북(82.6%) 등 민주당 텃밭인 호남에서 몰표를 얻었다.

다만 윤 당선인의 호남 지지율은 애초 목표치(30%)에는 크게 못 미치지만 10% 이상을 기록하며 역대 보수정당의 대선 호남 득표율로는 가장 높은 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