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7 F
Chicago
Tuesday, June 25, 2024
spot_img
Home종합뉴스미 7월 소비자물가 3.2%↑…물가상승 압력 둔화 추세 지속

미 7월 소비자물가 3.2%↑…물가상승 압력 둔화 추세 지속

6월보다 약간 올랐지만 둔화세 역전은 아닌 듯…전월 대비 0.2%↑

연준 정책전환 쉽지 않지만 추가금리 인상 기대 누그러질 듯

지난 7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월보다 약간 더 올랐지만 물가상승 둔화 압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3%)를 소폭 밑도는 수치다.

6월 상승률(3.0%) 대비 상승률이 다시 조금 가팔라진 수치지만, 지난 6월 물가상승률 둔화 폭이 워낙 컸던 점을 고려하면 물가상승률 하락세가 상승세로 반전된 것으로 보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앞서 6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해 5월(4.0%) 대비 상승 폭이 1%포인트나 둔화했다.

이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6월 9.1%로 정점을 찍은 영향이 컸다.

물가상승률 둔화세 지속은 전월 대비 상승률과 근원 CPI 지표에서도 뒷받침된다.

실제로 전월 대비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2%로 6월 상승률과 동일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7%로 6월(4.8%) 대비 증가세가 약해져 물가 상승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전월 대비 근원 물가 상승률은 6월과 같은 0.2%를 나타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 CPI 상승률은 소비자물가 대표지수와 더불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시하는 지표다.

7월 물가상승은 주거비용 상승이 견인했다. 주거비는 전월보다 0.4% 올라 7월 물가 상승에 대한 기여도가 90%에 달했다.

식품 가격은 전월 대비 0.3% 올랐고, 에너지 가격은 전월 대비 0.1%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번 7월 물가지표는 연준이 9월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하지 않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뉴욕증시는 물가지표 발표에 안도하며 오전 장중 1% 안팎 상승세를 나타냈다.

투자자문사 매크로폴리시 퍼스펙티브스의 로라 로즈너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일시적인 통계 효과를 고려할 때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역전됐음을 가리킨다고 볼 수 없다”며 “전월 대비 0.2% 상승률은 연준이 보고 싶어 하는 완만한 인플레이션 수준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물가 상승 압력 둔화세가 지속되고는 있지만 연준이 가까운 시일 안에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방향으로 정책 전환을 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7월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치인 2%보다 “훨씬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며 “물가상승률을 2%로 되돌리는 것은 갈 길이 먼 과정”이라고 말한 바 있다.

지난 7월 금리 인상으로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연 5.25∼5.50%로 2001년 이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프린서플 자산운용의 시마 샤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이 옳은 방향으로 움직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인 점은 연준이 금리 인하에 거리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는 디스인플레이션 과정은 순조롭지 않을 것이고 2% 몰표 달성 시까지 추가적인 고통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1038 S Milwaukee Ave Wheeling, IL 60090
제보:224.283.8200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