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마스크 공장 위생상태 엉망”

1197

수출상이 폭로, 무균시설 없는 곳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중국이 ‘마스크 수출대국’으로 떠올랐지만, 중국내 일부 마스크 공장의 위생 수준이 엉망진창이라는 증언이 나왔다.

홍콩 명보는 7일 중국 본토의 한 마스크 무역상이 현지 매체와 한 인터뷰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이 무역상은 “한 마스크 공장에 간 적이 있는데, 공장 내에는 먼지가 가득하고 종업원들은 마스크는 물론 장갑조차 끼지 않은 채 마스크를 만들고 있었다”며 “이런 공장에서 나온 마스크를 어떻게 착용할 수 있겠느냐”고 개탄했다. 그에 따르면 중국내 마스크 공장의 60%가량이 의료물품 생산에 필수적인 무균 시설도 갖추지 않은 채 마스크 생산 기계를 들여오는 즉시 생산에 나서는 실정이라고 한다. 정부가 발급하는 마스크 생산 자격증은 돈을 주고 살 수 있으며, 심지어 생산 자격증이 없는 업체가 다른 업체가 보유한 자격증을 빌려서 생산한다고 그는 폭로했다.

이러한 마스크 생산의 난맥상은 지난 1월 말 우한 등 중국내에서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하자 중국 정부가 기업들의 마스크 생산을 독려하면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의 독려에 방직 분야 기업은 물론 소매, IT, 식품, 기계 등 마스크 생산과 전혀 관련 없는 분야의 기업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수요가 폭증한 마스크 생산에 뛰어들었다. 그 결과 ‘우한 봉쇄령’이 내려진 지난 1월 23일부터 지난달 11일까지 중국 내에서 새로 생겨난 마스크 생산 기업은 5,489곳에 달하며, 지난달 초 중국의 하루 마스크 생산량은 1억개를 넘어섰다. 더구나 지난달부터 유럽, 미국 등에서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하자 전 세계적으로 마스크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났고, 이는 중국산 마스크에 대한 수요 급증으로 이어졌다.

의료용 KN95 마스크의 공급 부족에 미국 보건 당국 등은 어쩔 수 없이 중국의 생산 표준에 부합하는 마스크를 KN95 마스크의 대체품으로 인정하기에 이르렀고, 이에 중국산 마스크의 수출은 급증했다. 이 무역상은 “해외 수요는 급증했지만, N95 마스크 등 고급 마스크를 생산할 수 있는 중국 기업은 많지 않다. 이에 해외 주문을 받은 기업이 물량을 중소 생산업체에 나눠줘 마스크를 생산하게 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중국에서 수입한 마스크의 품질이 불량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사례가 속출하자 미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보건 당국 등은 중국산 마스크에 대한 품질 심사를 엄격하게 하기로 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에서 수입한 마스크가 품질 기준에 미달하자 마스크 60만개를 전량 리콜 조치하기도 했다.

이 무역상은 “KN95 마스크 생산업체를 어렵사리 찾아냈지만, (미국의 심사 강화 등으로) 생산라인을 전부 폐기할 처지에 놓였다”고 한탄했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