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조달러 부양책’ 우군 찾아···바이든, 재계와 취임 후 첫 회동

626
조 바이든(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9일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카멀라 해리스(왼쪽 두번째) 부통령, 재닛 옐런(오른쪽 두 번째) 재무장관과 함께 제이미 다이먼(오른쪽)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주요 기업 수장들과 취임 이후 처음으로 회동해 경제 위기 극복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연합]

월마트 CEO 등 불러 최저임금 인상 등 동력 확보 나서
다이먼 CEO “포용적 경제 기대” 상의측 “노동시장 왜곡”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주요 기업 수장들과 회동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를 함께 극복하자는 것이 명분이지만 사실상 공화당의 반대에 직면한 1조 9,000억 달러 규모의 경기 부양책과 최저임금 인상안에 대한 재계의 지지를 이끌어내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9일 워싱턴포스트(WP)와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이날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에서 토머스 도너휴 상공회의소 회장,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 더그 맥밀런 월마트 CEO, 건자재 소매점 로스의 마빈 엘리슨 CEO, 의류 업체 갭의 소니아 싱걸 CEO와 약 90분간 회동했다. 취임 후 20일 만에 처음으로 집무실에서 기업인과 공개 회담을 진행한 것이다.

만남의 목적은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위기 극복이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동에 앞서 “우리가 단호하게 행동하지 않는다면 더 많은 (코로나19) 사망자를 낼 수 있다”며 미국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비즈니스 리더들의 생각을 듣고 공통점을 이끌어내고 싶다”고 밝혔다.

하지만 회담의 진짜 취지는 의회에서 논의 중인 대규모 경기 부양책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상공회의소는 전통적으로 공화당과 협력해왔으며 맥밀런 월마트 CEO는 대기업 180여 곳의 CEO가 참여하는 로비 목적의 단체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을 이끌고 있다는 점을 짚으며 “이들의 지지가 부양책에 대한 공화당의 지원을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부양책에 포함된 최저임금 인상안을 두고도 토론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현재 시간당 7.25달러인 연방 최저임금을 오는 2025년까지 15달러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공화당은 지역별 경제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며 반대하고 있다. 최저임금 일자리가 많은 소매 업체 수장들을 부른 것도 이들의 지지를 얻어내 최저임금 인상의 동력을 얻기 위함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재계 인사들과의 첫 회동은 대통령이 추진할 경제 정책의 방향을 보여주는 자리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취임한 지 사흘 만에 포드와 다우케미컬·록하드마틴 등 12개 제조 업체 수장들을 백악관으로 초대해 생산 시설을 해외로 이전하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강력히 경고한 바 있다. 대선 선거운동 때부터 공약으로 내세운 ‘미국 우선주의’의 기조를 CEO들에게 다시 상기시키며 경제 정책의 기조를 과감히 드러낸 것이다.

다만 재계의 반응은 분분했다. 다이먼 CEO와 맥밀런 CEO는 최저임금 인상안에 찬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 다이먼 CEO는 회동 후 발표한 성명에서 “공화당과 민주당이 협력해 강력하고 포용적인 경제를 구축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혀 경기 부양책을 위한 초당적 지지를 강조하는 듯했다. 하지만 상공회의소 측은 이날 미국의 대규모 적자는 “실제로 우려되는 사안”이며 부양책의 일부인 실업수당을 주 300달러에서 400달러로 올리는 방안은 “노동 시장을 왜곡하고 개인의 근로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 “(코로나19 대유행이라는) 현재의 위기를 최저임금 인상 같은 영구적인 정책 변화의 기회로 이용하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

경기 부양책 통과에 대한 셈법이 복잡해진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은 경제 정책을 포함한 주요 국정 과제의 방향을 제시하는 타운홀 미팅에 참석한다. CNN방송은 16일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열리는 미팅에서 대통령이 청중과 함께 코로나19 대확산과 이것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포함한 여러 주제에 대해 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는 취임 후 처음으로 청중과 함께하는 공식 행사에 참석해 국정에 대한 전반적인 지지를 얻으려는 뜻이 깔려 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초대받은 제한 청중만 행사장 입장이 허용된다.<곽윤아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