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시진핑과 첫 통화서 무역·인권 압박

525
조 바이든 대통령이 부통령 시절이던 지난 2013년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과 악수하고 있는 모습.[로이터]

2시간 마라톤 통화 “중국이 우리 점심 먹어치울 것”
시진핑 “핵심 이익 존중해야”···거친 신경전 벌인듯
“시진핑 잘안다”는 바이든, 중 인프라 투자확대 경계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3주 만에 미국과 중국 정상이 첫 통화를 했으나 임기 초반 일정 기간의 정치적 밀월을 뜻하는 허니문을 고사하고 서로 핵심 이익을 내세우며 설전이 벌어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에게 불공정 무역에서부터 홍콩과 신장의 인권, 대만 문제 등을 모두 꺼내 압박했다. 시 주석 또한 내정 간섭을 하지 말라며 강력히 반발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에 이어 미중 갈등 2라운드가 사실상 본격화됐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11일 통화를 했으며 미국은 백악관, 중국은 관영 매체인 중국중앙TV를 통해 통화 내용을 공개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시 주석을 강하게 압박했다고 밝혔지만 중국중앙TV는 미중 정상 간 갈등 발언은 뺀 채 시 주석의 핵심 이익 수호 및 미중 협력 필요성 발언만 중점적으로 전했다.

백악관 보도자료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시 주석과 통화에서 무역과 인권 문제 등을 제기하는 등 강경한 중국 정책을 펼쳐나갈 것임을 공식화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강압적이고 불공정한 경제적 관행과 홍콩에 대한 탄압, 신장에서의 인권 유린, 대만을 포함한 역내에서 점점 더 독선적인 행동에 대해 근본적인 우려를 강조했다”고 밝혔다.

또 “미국인의 안보와 번영, 건강, 삶의 방식을 보호하고,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보존해야 한다는 우선순위를 확고히 말했다”고 설명했다.

전임 트럼프 정부가 문제 삼았던 무역 및 인권, 지역 문제를 바이든 정부도 계승해 대중국 강경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명확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민과 미국의 동맹국들의 이익을 증진할 때 실용적이고 성과 지향적인 관계를 추구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중국중앙TV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날 통화에서 바이든 대통령에게 홍콩, 대만, 신장 문제는 중국의 내정이라며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시진핑 주석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미중 관계가 우여곡절 속에서 발전했다면서 “미중이 합하면 모두 이익이고 싸우면 둘 다 손해이므로 협력이 양측의 유일한 정확한 선택”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시진핑 주석은 미중 간에 일부 현안에 이견이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첫 정상 통화는 2시간이나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든 대통령은 “나는 어젯밤 시 주석과 2시간 연속으로 통화를 했다”며 “좋은 대화였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그를 잘 안다”고 덧붙였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