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어떻게 문화강국이 됐나’···NYT 집중 조명

911
전 세계를 뒤흔든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플레이되고 있다. [로이터]

BTS에서 ‘오겜’까지 한국 문화콘텐츠 분석
“창작자들 능력과 노력, 문화배경 등 복합 작용”

뉴욕타임스(NYT)가 한국이 ‘BTS’에서 영화 ‘기생충’, 그리고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까지 전 세계를 강타하는 문화 콘텐츠를 만드는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배경을 조명했다.

NYT는 3일 ‘BTS에서 오징어 게임까지: 한국은 어떻게 문화계 거물이 됐나(From BTS to ’Squid Game‘: How South Korea Became a Cultural Juggernaut)’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의 문화 콘텐츠 산업의 발전 배경을 분석했다.

NYT는 한국은 한때 주로 자동차와 스마트폰으로 널리 알려졌지만 이제는 한국의 엔터테인먼트가 전 세계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며 창작자들은 이런 성공이 하룻밤 새 일어난 게 아님을 밝히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의 평판은 수십 년간 현대와 LG의 자동차와 휴대전화에 의해 정의됐고 TV 프로그램과 음악은 대부분 내수용이었는데, 지금은 ‘블랙핑크’ 같은 K팝 스타와 ‘오징어 게임’·‘기생충’ 등 한국 드라마·영화를 삼성 스마트폰처럼 어디서나 볼 수 있게 됐다고 NYT는 밝혔다.

NYT는 이런 문화콘텐츠의 성공으로 한국의 문화 상품 생산은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보다 아주 적지만 한국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갖게 됐다며 지난 9월 영국 옥스퍼드 영어사전(OED)은 ‘한류’(hallyu) 등 한국 문화 관련 단어 26개를 새로 실었다고 전했다.

NYT는 이러한 성과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았으며,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덕에 가능했다고 밝혔다.

NYT는 “한국이 제조기술 개발을 위해 과거 일본·미국을 벤치마킹했던 것처럼 문화콘텐츠 제작자들은 수년 동안 할리웃이나 다른 엔터테인먼트 중심지에 대해 공부했고, 도입한 기술에 한국만의 감성을 더했다”고 분석했다.

또 넷플릭스와 같이 지리적 경계를 허무는 스트리밍 서비스나 기존 방송사와 차별화되는 독립 스튜디오의 성장, 제도적 지원 등도 한국이 외국 문화 소비자에서 주요 문화콘텐츠 수출국으로 변모할 수 있게 한 요소로 꼽았다.

지난 몇 년 간 한국은 외국어 영화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초의 작품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으로 전 세계를 뒤흔들었고 BTS가 글로벌 최고 인기 밴드로 부상하는 등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전 세계 시청자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진 점도 한국 문화콘텐츠의 성공에 기여한 것으로 지적했다. 넷플릭스는 지난 2016년 한국 내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최근 몇 년간 80편의 한국 영화와 TV 쇼를 전 세계에 소개했다. 지난 1일 기준으로 넷플릭스 최고의 인기 콘텐츠 10편 중 3편이 한국 콘텐츠였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문화적 생산성은 반도체와 같은 주요 수출품목에 비해 여전히 작지만 숫자로 표현할 수 없는 영향력을 국가에 가져다 주었다.

이와 함께 한국이 전쟁, 독재, 민주화, 급속한 경제 성장 등을 거쳐오는 동안 문화 콘텐츠 제작자들이 사람들이 보고 듣기를 원하는 것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예리한 감각을 키워온 점도 성공의 한 요소로 분석됐다.

이러한 대중들의 관심은 종종 사회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한국의 블록버스터 영화 대부분도 소득 불평등과 계급 갈등 등에 기반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고 NYT는 보도했다.

<하은선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