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들 없었지만 ‘다양성’ 회복

324
9일 베버리 힐튼 호텔에서 열린 제79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할리웃외신기자협회 헬렌 호이네(가운데) 회장이 무대에서 인사하고 있다. [골든글로브 제공]

달라진 골든글로브 시상식 현장···‘깐부’ 오영수 수상 쾌거, 아시아계 약진 두드러져
외신기자협회 내부개혁

“스퀴드 게임, 오영수”

지난 9일 베벌리힐스의 베벌리 힐튼 호텔에서 열린 제79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현장. 두 번째 시상 순서에서 TV 부문 남우조연상 수상자로 ‘오영수’가 호명되자 객석은 박수갈채를 보내며 환호했다. 골든글로브 상을 주관하는 할리웃외신기자협회(HFPA)가 연극 인생 반 세기가 넘는 관록이 묻어난 오씨에게 연기상을 안긴데는 이견이 없다는 반응이었다. 물론 시상식 현장에는 수상 후보들이 참석하지 않아 오영수 배우가 직접 수상하는 장면은 볼 수 없었지만, 지난해 전 세계를 휩쓴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깐부 할아버지’가 한국 배우 최초로 골든글로브의 주인공이 되는 쾌거의 순간이었다.

지난 1년 간 인종 다양성 등을 이유로 개혁을 요구받아온 HFPA가 주관한 글든글로브 시상식은 이처럼 스타와 관객이 없는 비공개 행사로 열렸다. HFPA 그랜트 수혜 단체들과 해외 영화제 관계자, 감독, 제작자들이 차례로 무대에 올라 각 부문 후보와 수상자를 발표하는 방식으로 시상식이 진행됐다.

골든글로브는 시상식 개최 직전까지 할리웃 스타들이 불참한 행사가 과연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의견이 분분했다. 게다가 오미크론 확산 여파로 방역지침이 강화되면서 행사장 내 먹고 마실 수 있는 파티를 없애고 시상식 이후 리셉션으로 대체했다. 새해 첫 트로피를 안기며 할리웃 스타들을 들뜨게 만들었던 예년의 축제와는 동떨어진 다소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1시간 30분에 걸쳐 열렸다. 골든 글로브 역대 수상자인 ‘터미네이터’ 아놀드 슈왈제네거 전 가주 주지사와 영화 ‘핼로윈’의 스타 제이미 리 커티스가 영상으로 축사를 전했을 뿐이다.

시상식이 끝난 후 영화계 반응은 차갑지만은 않았다. 지난해 내부 개혁의 시동을 걸었던 HFPA가 시상식 결과에서는 다양성과 형평성에 한걸음 전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아시안 배우의 수상은 다섯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인 골든글로브가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서 오일남역을 연기한 오영수 배우에게 남우조연상을 안긴 것은 주목할만하다. 또, 드라마 ‘포즈’로 TV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트렌스젠더 배우 미카엘라 제이 로드리게스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 수상은 성소수자와 라티노, 아시안 등을 위한 것”이라는 글로 의미를 부여했다.

이날 ‘오징어 게임’을 누르고 TV 드라마 부문 작품상과 남우주연상을 차지한 HBO 시리즈 ‘석세션’은 호주 출신의 신예 새라 스눅에게 여우조연상까지 안기며 3관왕에 올랐다.

코미디/뮤지컬 영화 부문의 작품상을 받은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와 드라마 영화 부문 제인 캠피언 감독의 ‘파워 오브 도그’도 3관왕을 차지했다, 올해 처음으로 시상된 ‘비영어’ 영화상(지난해까지 외국어 영화상)은 일본 감독 하마구치 류스케의 ‘드라이브 마이 카’가 수상했다.

<하은선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