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우크라 침공’ 공포에 금융시장 ‘휘청’

451

 나스닥 2.8%나 떨어져
‘금리인상’ 예상도 투매 불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는 공포에 미국의 고강도 통화긴축 우려가 더해지면서 11일(현지시간) 글로벌 금융시장이 휘청거렸다.

무력 충돌 가능성이 고조되자 글로벌 투자자들은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을 팔고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채권과 금으로 피신했고, 국제유가는 급등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03.53포인트(1.43%) 내린 34,738.0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85.44포인트(1.90%) 떨어진 4,418.6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94.49포인트(2.78%) 급락한 13,791.15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하루 전 40년 만의 최악 인플레이션 소식에 급락했던 뉴욕증시는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보합세를 보이며 안정을 되찾는 듯했으나, 장 마감 2시간 전에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경고가 나오면서 급격한 하강곡선을 그렸다.

지정학적 긴장 고조에 노스럽그러먼(4.5%), 록히드마틴(2.8%) 등 방산주와 데번에너지(3.6%), 엑손모빌(2.5%), 코노코필립스(2.3%) 등 에너지주는 오름세를 보였으나 나머지 종목은 대체로 부진했다. 특히 아메리칸항공(-5.9%)을 비롯한 여행주와 AMD(-10%)를 포함한 반도체주의 낙폭이 컸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3.1%)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3.7%) 등 빅테크주도 2∼3% 떨어졌다.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뿐 아니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강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염려도 주식 투매 움직임에 불을 붙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날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7.5% 급등해 연준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기준금리를 올리고 더 빠른 양적긴축(대차대조표 축소)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위험자산 회피 현상을 불러왔다는 것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 이어 골드만삭스도 이날 연준이 올해 7회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